서리와 성에, 이슬의 차이점 궁금합니다
서리 :기온이 어는 점 아래로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면이나 주변 물체에 부착된 얼음결정
성에 : 유리창이나 벽 같은데 김이 서려서 하얗게 얼어 붙은것 이라고 나오고,,
이슬은 나뭇잎에 붙어잇는 물방울 아닌가요?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 성에, 이슬은 모두 대기 중의 수증기가 결정체나 액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이지만, 발생하는 조건과 상황에 따라 그 형태와 차이점이 있습니다.
서리는 대기 온도가 어는 점 이하로 내려가면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땅이나 물체에 부착되어 얼어붙어서 생성됩니다. 대기가 건조하고 바람이 약하며 지면이 충분히 차가울 때 서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리는 일반적으로 흰색이며, 얼음 결정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성에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유리, 금속, 벽 등의 표면에 부착되어 얼어붙어서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대기 중 습도가 높아야 하며, 주변 온도도 낮아야 합니다. 성에는 대부분 물결 모양의 패턴으로 생기며, 보통 투명하거나 흐린 흰색으로 나타납니다.
이슬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공기 중의 먼지나 물방울의 표면에 부착되어 액체 형태로 생성됩니다. 이슬은 바람이 약하고 대기 온도와 이슬점 차이가 적을 때 생성됩니다. 이슬은 작은 물방울 형태로 나타나며, 색이 없거나 약간 투명한 흰색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서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어 얼음 결정체로 형성되는 반면, 성에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표면에 얼어붙어 생성되며, 이슬은 수증기가 액체 형태로 생성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서리는 대기가 건조하고 바람이 약할 때 발생하며, 성에는 습도가 높아야하고 대기 온도도 낮아야합니다. 이슬은 바람이 약하고 대기 온도와 이슬점 차이가 적을 때 생성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