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실업과 생산가능곡선간의 관계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경제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보통 한 국가의 경제 구조상 실업이 감소하면 노동이 증가하고,
노동이 증가하면 이 생산가능곡선도 상승 이동하나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업이 감소하면서 노동이 증가하게 되면 생산가능곡선이 바깥쪽으로 상승 이동을 하게 되지만 실제적으로는 노동이 증가한만큼의 이동이 이루어지지는 않게 됩니다. 그 이유는 실업이 있는 당시에는 노동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생산자원들이 모두 활용되지 못한 상태였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실업이 감소하면서 노동이 증가하면 이 생산자원들에 대한 재고가 감소하면서 노동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게 되는데 우상향이 가능한 지점은 '자본-노동'의 관계의 접점이 생기는 부분까지만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생산성의 효율이 극대화된 지점부터는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노동증가는 생산가능곡선의 우측이동을 가능케 하나 생산의 효율성이 달성되는 지점 부터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라고 이해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