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내추럴한뿔영양271
내추럴한뿔영양27122.12.08

과학적으로 외계인은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어릴때는 외계인이 허상의 케릭터라고 생각을 했는데 점점 지식도 쌓이고 인류의 탄생을 알고나서는 충분히 외계인이 존재할수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과학적으로 아무리 논리적으로 올바른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실제로 보기 전까지는 믿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주는 매우 넓고 팽창하기 때문에 지구외에도 다른 생명체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실을 확인한 것은 아니니 우주인이 존재한다고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존재할지 안할지는 발견 전까지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상상 이상으로 넓습니다. 당연히 외계인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인간이 그 외계인을 만날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그러기에는 시간적으로 불가능하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직접 오갈 수 없다면, 외계인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을 도청하는 것이다. 문명이 발달한 외계인이라면 전파를 사용할 것이다. 전파는 광속으로 전달되므로 커다란 수신 안테나를 만들고 기다리면 언젠가는 그들의 휴대폰이나 TV 무선 신호를 수신하게 될지도 모른다.

    천문학자들은 오랫동안 외계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에 관하여 논의해 왔고, 우주의 곳곳에는 다양한 생명체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는 1961년 문명을 가진 외계인의 존재 확률을 계산하는 드레이크 방정식을 발표했다.

    N=R✱×fp×ne×fl×fi×fc×L


    R✱ : 우리 은하에서 항성이 만들어지는 평균 속도

    fp : 만들어지는 항성 중에서 행성을 거느리는 비율

    ne : 항성이 거느린 행성 중 생명체를 유지시키는 환경을 갖춘 행성의 비율

    fl : 앞의 3가지 조건을 갖춘 것 중, 어떤 시점에 생명체가 실제로 발달해 나갈 비율

    fi : 앞의 4가지 조건을 갖추고, 지적인 생명체가 발달해 나갈 비율

    fc :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고, 우리가 탐지할 수 있는 신호를 우주 공간으로 내보내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문명의 비율

    L : 그런 문명이 탐지 가능한 신호를 우주로 내보내는 시간

    우리가 구하려고 하는 N의 값은 '현재 시점에 적어도 인류의 문명이나 그 이상으로 발달한 외계 문명의 수'이다.

    동전을 던지면 앞이 나올 확률은 둘 중 하나니까 이다. 동전을 두 개 던지면 경우의 수는 (앞, 앞), (앞, 뒤), (뒤, 앞), (뒤, 뒤)의 4가지가 있고, 동시에 앞이 나올 확률은 4 중의 1, 곧 이다. 이것은 ×과 같은데 각각의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을 곱한 것과 같다. 이처럼 동시에 일어나는 여러 사건에서는 개별 사건이 일어날 확률들을 곱한 것이 모든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는 확률이 된다.

    별이 있다고 하여 반드시 행성이 있는 것도 아닐 것이고, 설혹 행성이 있다고 하여도 생명이 탄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외계인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과 가능성이 동시에 요구되므로, 드레이크 방정식은 각 요소의 곱셈으로 주어진다.

    이 식은 정확한 계산이 불가능하므로 적절한 가정과 확률을 넣어 계산한다. 드레이크는 다음과 같이 값을 대입하여 외계 문명이 50개 정도는 될 거라고 내다 봤다.

    N=10×0.5×2×1×0.01×0.01×50000=50

    최신의 연구 데이터를 반영하면 0.08이 나오며, 학자에 따라서는 이 값을 5,000으로 보기도 한다. 이것은 은하계 수천억 개의 별과 모든 행성, 위성들을 통틀어 우리와 같은 존재가 살고 있을 가능성은 지구가 유일하거나, 많으면 5,000개에 이를 수도 있다는 뜻이다.


  • 안녕하세요. 우주는 아주 넓고 우리가 알지 못하는 미지의 세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와계인이 있을 확률이 아주 높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 외계인은 존재합니다

    우주는 아직 우리가 개척하지 못한 부분이 많고 지구보다 살기 좋은 별이 통계적으로 있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