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

비가역적 반응은 왜 일어나는 것인가요?

반응에는 비가역적 반응과 가역적 반응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비가역적 반응은 반응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역적 반응은 쉽게 말해, 화학 반응에서 생성된 생성물이 반응 조건에 의해 다시 원래의 원료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열역학적인 이유로 발생하며, 일어난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철과 산화제인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철 산화물은 비가역적 반응입니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철 산화물은 더 이상 철과 산소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가역적 반응은 일단 일어나면 그 반응이 끝까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됩니다.

    이러한 비가역적 반응은 화학 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화학 반응도 비가역적 반응입니다. 이러한 반응을 이용하여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움직이는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역적 반응은 원자나 분자 간의 에너지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경우, 생성된 생성물은 출발 물질보다 더 안정적인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안정성 차이로 인해 역반응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역적 반응은 계의 엔트로피가 증가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일어나는 반응입니다.

    즉, 말씀대로 한번 반응이 일어나면 돌이키지 못하는 반응인데, 대표적으로 연소 반응이나 앙금이 생성되는 반응, 중화 반응 등ㅇ이 비가역 반응에 속합니다.

    이런 비가역적 반응은 역반응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가 너무 크거나 활성화 엔트로피가 매우 작기 때문에 보통의 에너지로는 되돌아 가는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역적 반응은 반응이 진행되면 반대로 되돌릴 수 없는 반응입니다. 이는 주로 열역학적인 이유로 설명됩니다.

    비가역적 반응의 이유는 주로 엔트로피 증가에 기인합니다.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무질서함을 나타내는 척도로, 물질의 분자나 이온의 자유도와 분자의 배치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엔트로피의 증가는 더 많은 가능한 상태로의 전이를 의미하며,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은 자연적인 경향성을 가집니다.

    비가역적 반응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반응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엔트로피 감소를 의미하므로 역방향 반응이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이는 분자 또는 이온의 배치나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변경되고, 더 많은 자유도를 가지는 새로운 구조로 전이하면서 발생합니다.

    또한, 비가역적 반응에서는 반응 조건과 외부 환경에 대한 영향도 중요합니다. 반응이 진행될 때 열, 압력, 농도 등의 조건이 바뀌거나 외부로 열이나 물질이 흘러나가면 반응의 방향이 결정되어 되돌릴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역적 반응은 엔트로피 증가와 반응 조건의 영향으로 인해 반응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경향을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