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부유한까치118
부유한까치118

목에 이물감이 심한데 이비인후과 진료인가요?

목 아래쪽 쇄골쯤에 답답함이 많아요

항상 그런건 아니고 하루정도 증상이 있다가

하루 이틀 증상이 약해졌다 합니다

어느땐 숨쉬는것도 불변합니다

또, 아침에 세안할때 코 풀면 코피가 섞여 나옵니다

양쪽 콧구멍이 번갈아 가며 한쪽씩 숨쉬기 한다고

알고 있는데 이번 겨울 부터는 한쪽은 일을 잘 안하는것 같습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자유로운텐렉61
      자유로운텐렉61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식도염의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식도염의 증상

      식도염에 걸리시면 목쪽에 강한 자극으로 인한 통증이 올수 있습니다.

      또한, 구토를 하시게 될때 피가 같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식도염의 원인

      면역기능이 떨어진 상태에서 여러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을 장기 복용했을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의 치료

      고지방, 고탄산 음식 줄이기

      금연하기

      금주하기

      위보호제 복용

      수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부 증상은 역류성 식도염 증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코피가도 나오기 때문에 이비인후과 방문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 또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입니다.

      대부분은 잘못된 생활습관과 식습관에 의해 발생하며 맵고 짠 음식을 자주 먹거나 커피, 술 등을 자주 섭취할 시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중 음식 섭취 이후에 바로 눕는 등의 행동이 이러한 증상을 악화시킬 수있습니다.

      초기 증상일 경우에는 위산 분비 억제제를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나 생활습관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적으로 변할 수 있어 생활에 불편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목 안의 이물감으로 질문을 주셨습니다.
      지속적으로 목에 무언가가 끼어 있는 듯한 느낌이 지속된다면 만성 역류성 인후두염을 우선적으로 의심해볼 수 있으며, 가능성은 낮지만 인두나 후두의 암과 같은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가래를 지속적으로 끌거나 큼큼거리는 행위는 인후두에 좋지 않은 습관이며, 소리를 지르거나 노래를 하는 행위 들도 성대에 무리를 가하는 행동이며, 흡연자라면 금연을 권합니다.
      성대질환이나 음성장애를 전문적으로 보는 이비인후과나 대학병원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본인의 상태를 먼저 확인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식도염의 증상에 속하십니다만 정확한진단은 병원에 가보셔야할것 같습니다.



      식도염의 증상

      목통증

      흉통

      구토

      구역감


      식도염은

      면역결핍이나 전신질환에 의해 컨디션이 안좋을때 생길 수 있습니다.

      위산역류, 구토 등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항생제, 소염진통제 등에의해 식도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의 치료

      약물 복용 (위산저해제, 위보호제, 항생제 등)

      생활습관 교정 (자극적인 음식 줄이기, 체중줄이기, 식사후 걷기 등)

      수술 (식도에 천공, 출혈 등의 심각한 문제가 생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