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1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까요?

이제 곧 1월 FOMC의 결과가 나오잖아요.

금리 동결이 유력한 상황인 거 같은데 트럼프는 금리를 인하하라고 했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1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전문가들 별로 의견은 다르겠지만, 저는 금리가 동결될 것 같습니다.

    현재 미국 경제는 상승세를 유지 하면서 인플레이션과 경제 상황을 고려 했을때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필요가

    없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트럼프의 금리 인하 요구에도 FOMC는 물가안정과 경제 성장을 이유로 현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동결이 되거나 금리 인상으로 논의가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금리 동결로 마무리 되지 않을까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금리 인상이 될 것 같습니다.

  • 1월 FOMC에서는 금리 동결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촉구했지만, 연준은 최근 경제 지표와 물가 안정 추세를 고려해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발표된 경제 지표에서 경기 과열에 대한 신호가 일부 보이고 있기 때문에 금리 인하 결정을 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파월은 물가 상승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있으며, 실업률, 실업수당청구, 소비자 물가지수 등 대부분 경제 지표가 금리 동결을 의미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1월 FOMC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지만, 인플레이션과 경제지표에 따라 다른 결정이 나올 여지도 있습니다. 트럼프의 발언은 압박 요인일 뿐, 연준은 독립적으로 정책을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1월 FOMC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은 꽤 높은 상황입니다. 최근의 경제 지표들, 특히 고용과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안정세를 보이면서,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되었고, 1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 연준은 금리를 너무 급격하게 올리면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것은 주로 경제 성장과 주식 시장을 고려한 발언으로 보입니다. 다만, 연준은 정치적인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그 주장이 실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금리 동결이 유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그 이유는 이미 최근 FOMC에서 인하를 하였고 올해에는 2회의 금리인하를 예고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총 8번 중에 2회 인하라면 1월부터 인하할 경우 FOMC에서도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