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4.01.19

조선시대의 성리학을 가장 부흥시켰던 인물은 누구인가요.

조선시대를 이야기하면 유교보다는 성리학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조선시대에 성리학을 가장 부흥시켰던 인물은 누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황과 이이는 더불어 성리학이 조선 사회에 뿌리내리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성리학적 통치 사상을 바탕으로 건국된 왕조입니다. 성리학을 새로운 통치 이념으로 삼아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내세우면서 유교적 민본 정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문물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조선은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상으로 하는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조선 중기 사림은 성리학의 보급을 확대하며 성리학적 지배질서가 보편화됩니다. 조선 시대 성리학을 가장 부흥 시킨 인물은 조선 중기 이황과 이이입나디. 두 인물은 성리학의 이론과 실천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여 조선의 주류 사상으로 성리학을 확립하였습니다. 이황은 이기이원론을 발전시키고,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을 저서를 남기고 , 일본의 성리학 발전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이이는 이기일원론을 내세웠으며, 동호문답, 성학집요의 저서를 남겼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송나라 주희의 성리학을 도입한 이래 여말선초의 신진사대부로 불리는 계층이 형성되었으며 조선 건국의 정치이념이자 교육목표가 됩니다. 신진사대부는 목은 이색을 중심으로 포은 정몽주를 중심으로 한 절의파와 삼봉 정도전을 중심으로 한 역성혁명파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조선 성리학의 발전은 한국 조폐공사 모델들인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에 의해 큰 학문적 업적을 이루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