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뽀로로
뽀로로23.02.16

베블런효과란 어떤 뜻을 가진 용어인가요?

보통 쌀수록 더 소비가 많을 거 같은데 비쌀수록 잘 팔리는 베블런효과라는 기사 글을 봤습니다.

베블런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건지 누가 처음 표현하기 시작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란 물건 가격이 오르는 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수요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명품을 예시로 들면 가격이 엄청나게 비싸지만 소비자들은 줄서서 사려고 하죠. 명품은 세계적으로 리셀러들이 많아서 그런 것도 있습니다.

    유래: 미국의 사회·경제학자인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이 언급했기에 베블런 효과란 이름이 붙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시적 소비"라고도 알려진 베블렌 효과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수요가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소비자가 자신의 부나 지위를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고가의 상품을 사용하고 그 결과 이러한 상품에 기꺼이 프리미엄을 지불할 때 발생합니다.

    베블렌 효과는 1899년 저서 "여가 계급 이론"에서 개념을 처음 소개한 경제학자 Thorstein Veble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Veblen은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알리고 사회 집단의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차별화하는 방법으로 물질적 재화를 사용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사람들이 권위 있고 배타적이라고 여겨지는 상품에 대해 기능적으로는 더 낮은 가격의 대안과 동일하더라도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Veblen 효과는 종종 고급 패션 브랜드, 고급 자동차 및 독점적인 여행 경험과 같은 고급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고가의 유기농 또는 장인 식품에 대한 수요 또는 고가의 기술 제품을 지위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맥락에서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베블렌 효과는 고가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에게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과도한 소비와 낭비를 조장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악화시켜 사회적,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런효과란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의미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베블런효과는 미국의 사회학자인 베블런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즉 베블런효과는 상류계급층의 소비 문화인 과시 욕구의 소비로 가격이 오르거나 턱없이 비싼 가격임에도 일부 계층이 과시욕이나 허영심등으로 인해서 수요가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남들이 보면 속물이라고 생각되는 행동이라고 해서 '속물근성'과 같다고 표현한 속물효과와 비슷한 단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쉽게 말해서 과시효과를 통한 소비가 증가 하는 것을 말합니다.

    • 사람들은 항상 합리적인 소비만을 진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 과시를 통해 남들에게 나의 재력을 자랑하기도 하는데 이때 소비하는 것이 주로 사치성 재화가

      많고 이는 비합리적인 재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