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12.21

우리나라 4소문은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우리나라 4대문으로 숭례문, 흥인지문, 숙정문, 돈의문으로 알고잇는데

이에 반대로 4소문은 어떤 것들인지 종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대문이 있듯이 4소문이 있습니다.

    4소문은 동소문의 혜화문, 서소문인 소의문, 남소문인 광희문, 북소문인 창의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도성인 서울 성곽의 4개의 작은 성문으로 동북의 홍화문(弘化門), 남서의 소덕문(昭德門), 동남의 광희문(光熙門), 서북의 창의문(彰義門)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건국 초에 태조가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위하여 궁궐과 종묘를 먼저 지은 후, 태조 4년(1395) 도성축조도감을 설치하고 한양을 방위하기 위해 성곽을 쌓도록 하였습니다. 석성과 토성으로 쌓은 성곽에는 4대문과 4소문을 두었으며 4소문은 동북의 홍화문, 동남의 광희문, 서북의 창의문, 서남의 소덕문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대문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홍지문의 인의예지에 바탕을 두고 붙여진 이름이며 4소문은 동소문은 혜화문이고 서소문은 소덕문이라 하였다가 소의문이라 하였고 남소문은 광희문이며 속칭 수구문 시구문이라고 불렀습니다. 북소문은 창의문이며 자하문이라고도 하였고 북문이라고도 불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울의 4소문은 각각 서울 도성 (都城) 동북쪽의 '혜화문 (惠化門)'으로, 서남쪽의 '소덕문 (昭德門)'으로, 동남쪽의 '광희문 (光熙門)'으로, 서북쪽의 창의문 (彰義門)'으로 불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396년(태조 5) 도성을 축조할 때, 동북쪽에 홍화문(弘化門:東小門), 동남쪽에 광희문(光熙門:水口門), 서남쪽에 소덕문(昭德門:西小門), 서북쪽에 창의문(彰義門)을 세웠다.

    그 중 동소문은 1484년(성종 15)에 창경궁(昌慶宮)을 건축하고 그 동문을 홍화문이라 하였으며 1511년(중종 6)에 혜화문(惠化門)으로 개칭하였다. 그 뒤 1816년(순조 16)에는 중수(重修)하고 1869년(고종 6)에 보수하였으며, 1928년에는 문루를 헐고 석문만 남겨 두었는데 그 후 전차를 부설하면서 석문마저 철거하여 지금은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없다.

    수구문은 1711년(숙종 37) 새로이 석문만 건축하고 9년 후인 1720년에는 문루를 지어 광희문이라는 현판을 걸었고, 1975년 도성복원(都城復元) 공사로 석문을 수리하고 문루를 재건하였다. 광희문 이외에 1457년(세조 3) 지금의 장충동(奬忠洞)에서 한남동(漢南洞)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따로 남소문을 축조하였으나 1469년(예종 1)에 풍수지리설에 따라 폐쇄되었다.

    서소문은 1738년(영조 14)에 석문을 개축하고 1744년 문루를 건축한 뒤 소의문(昭義門)으로 개칭하였으나 1914년 도시계획 때 철거되었다.

    창의문은 1413년(태종 13)에 폐쇄되었으나, 1741년(영조 17) 성문을 다시 고쳐 짓고 인조반정 공신의 명단을 걸게 하였는데 지금도 남아 있으며 자하문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