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주는 적당한 스트레스 환경이 교육에 괜찮을까요?
개인적으로 스트레스에 너무 취약한 편이다보니 아이들은 적당히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환경이 더 좋고 스트레스에 강해졌으면 하고 바라는 면이 잇는데요. 한편으로는 그게 너무 싫었던 기억이 있어 아예 그런 환경을 주지 말아야하나 싶기도 한데요.
아이 교육에 어느정도의 스트레스가 좋은걸까요? 그 정도는 구체적으로 어느정도 일까요ㅏ?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는 어는정도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그러한 스트레스를 버티고 이겨내면서 스트레스에 대한 극복능력이 키워집니다. 부모가 안쓰러운 마음에 아이의 스트레스 환경을 다 차단시킨다면 아이는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없습니다. 적당한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어 이겨내는 힘을 기르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는 어느정도 있는것이 삶의 원동력과 이겨내는 힘을기르는데 도움이됩니다
얼마정도로 주냐는 아이가 극복할수있는 스트레스 양에 따라서 다를수있습니다.
아이가 너무 싫어하고 강하게 거부하는것들은 피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가 아예 없을수는 없어요
적당한 스트레스는 사람의 발전도 도와주고
긴장도 하게 하여 긍정적으로 작용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스트레스는 정말 좋지 않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고 자란 아이는 건강한 정신을 가지지 못합니다.
건강한 정신으로 맑고 티없이 자라도록 도와주세요.
스트레스 받지 않는 아이들이 감정적으로 안정감을 얻고, 긍정적인 생각을 많이 가지면서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해나갈 수 있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은 그 양과 질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
양이 적든 그 질이 적든 스트레스는 아이들에게 악영향을 줍니다.
가능하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시는 것이 아이들의 정신건강이나
신체 건강에 이롭습니다. 아이를 자주 칭찬하고 겪려하면서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어느정도의 목표치는 주어줘
약간의 스트레스가 있어야 건강한 발전이 가능하기에
아주 경미한 정도의 스트레스만 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는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강한 동기부여를 해주기도 하는 장점도 있답니다.
스트레스는 뉴로트로핀이란 뇌 화학물질의 분비를 촉진해서 뇌 신경세포간의 연결을 강화해서 두뇌기능을 향상시킨다고 하니 참고하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오히려 건강한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지속될 경우 신체적인 증상이나 심리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강한 스트레스는 피해야 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과한스트레스는 오히려 부담스러워 합니다.
적당한 스트레스가 이상적이나 양을 측정하기가 쉽지않으나 부모가 평소 아이성향을 파악한후 적당량의 푸시를 주는게 좋을꺼 같아요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편안하고 쉬운 환경만 제공하고 힘든 일과 스트레스를 피하게 하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어요. 그리고 과도하지 않은 적당한 스트레스는 오히려 여러 뇌체계들을 활성화시키고 신경세포의 성장과 관련된 여러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며 이는 뇌세포들이 서로 가지를 뻗어 더 단단하고 복잡하며 효율적인 신경망을 형성하게끔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부모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아이가 받는 외부의 스트레스와 힘든 경험들을 무조건적으로 차단해주는 벽이 아닐것입니다. 그보다는 아이의 고군분투를 먼발치에서 조용히 지켜보면서도 아이가 힘들때면 잠시 기댈 존재가 되어주며 지지와 격려를 아낌없이 누누어 줄수 있는 한결같은 나무그늘과 같은 역할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