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7

왜 가을만 되면 단풍잎의 색깔이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평소에는 나뭇잎이 초록색이다가 왜 가을이 되면 잎의 색이 초록색에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등으로 바뀌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나무는 온도가 내려가고 태양빛을 받는 시간이 짧아지면

    겨울이 왔음을 인지하여 동사하지 않기위해 잎을 떨어뜨리려 합니다.

    잎은 수분이 많아 겨울이 되면 얼게 됩니다. 잎이 얼게되면 얼음이 가지에까지 영향을 미쳐 나무는 동사하게 됩니다.

    겨울이 오기전 나무는 잎으로가는 수분과 영양분공급을 차단합니다.

    잎은 영양분과 수분이 없어 광합성을 할수 없게 되고 엽록소가 급격이 줄기 시작하게 됩니다.

    잎은 엽록소생산이 되지 않아 녹색을 점점 잃게 되고 고유의 색상을 띄게 됩니다.

    잎은 안토시아닌, 크산토필, 카로틴등의 색소로 인해 빨간색,주황색, 노란색등의 색깔을 띄게 됩니다.


  • 호탕한날다람쥐263
    호탕한날다람쥐26322.11.28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들은 엽록소라는 물질에 의해서 잎색깔을 결정합니다. 보통의 식물은 광합성을 하기 위해 엽록체가 있는데 보통 그 엽록체의 색을 나타내는 엽록소의 종류가 몇가지가 있습니다..

    가을이 깊어지면 일조량이 작아져서 광합성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식물의 엽록소의 합성이 멈추게 됩니다. 그래서 엽록소가 쇠퇴하여 분해되어 엽록소의 색깔이 사라지고 남아있는 카로틴과 크산토필만이 남아 노랗게 보이게 됩니다..

    카로틴과 크산토필 역시 색소의 한 종류들이죠.. 다만 색깔이 노란색이라는 것 뿐입니다. 또한 단풍이 빨갛게 잎이 변하는 이유는 안토시안이라는 물질이 생겨나서 이 안토시안의 색깔인 붉은 색 때문에 그렇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가을이 되면 나무가 나뭇잎에서 엽록소를 분해하기 때문입니다.

    엽록소는 기본적으로 초록색인데, 이 초록색이 빠져나가게 되면 노랗거나 붉게 물들게 됩니다.

    나무가 엽록소를 분해하는 이유는 가을 이후에는 광합성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광합성은 태양에너지를 바탕으로 하는데, 가을~겨울에서는 태양에서 에너지를 얻기가 힘들어집니다.

    따라서 식물의 잎을 유지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엽록소를 제거하여 광합성을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따라서 잎의 색이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들은 엽록소에 의해서 잎의 색깔이 결정됩니다. 식물들은 광합성을 하기 위해 엽록체가 있는데 보통 그 엽록체의 색을 나타내는 엽록소의 종류가 여러개 있습니다. 광합성량이 작아질 경우 엽록소의 합성이 멈추게 되고 엽록소의 색깔이 사라지면서 남은 카로틴과 크산토필만이 남아서 다른색을 띄게 되는거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이되면 온도가 25도아래로 내려가 엽록소의 합성이 멈추게됩니다. 그래서 초록빛을 잃어감과동시에 잎에 남은 안토시아닌이나 카르티노이드가 색을 나타내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