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디스코777
디스코77723.03.29

기업의 총자신을 기준으로 보는 지표가 ROA(총자산순이익률)라고 하는데 ROA가 뭔가요?

기업의 총자신을 기준으로 보는 지표가 ROA(총자산순이익률)라고 하는데 ROA가 뭔가요? ROA는 ROE보다 조금 확대된 개념이라고 하는데 ROA(총자산순이익률)이 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ROA(총자산순이익률)는 기업이 보유한 총자산으로부터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OA = 순이익 / 총자산

    여기서 순이익은 기업이 영업활동에서 얻는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값으로, 총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총자산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ROA는 기업의 자산 활용 능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즉,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와 비교하면 ROA는 기업의 부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이 자산을 높은 비율로 부채로 유치하여 ROE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ROA는 낮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총자산(자산총액)에 대한 순이익률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A에서 가리키는 총 자산은 자기자본은 물론 부채까지도 포함하는 것입니다.

    ROA는 기업이 어느 정도의 수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ROA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큰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총자산순이익률(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자기자본+부채)×100

    한편, ROA는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보유자산을 대출·유가증권 등에 운용해 실질적으로 얼마만큼의 순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A(총자산순이익률)은 한 기업이 그들의 총자산으로 얼마나 많은 수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입니다. ROA는 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ROA는 각 산업마다 각기 다른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른 산업군에 있는 개별 기업들을 비교하기 보다는, 한 기업의 지난 실적과 현재의 실적을 비교하는 데 쓰일 뿐 아니라, 같은 산업군의 각기 다른 기업들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측정하는데 쓰이는 지표가 됩니다.

    ROA는 ROE(자기자본순이익률)보다 조금 확대된 개념입니다. ROE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A(총자산순이익률)란 기업의 총자산 대비 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이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ROA가 높을수록 기업은 적은 자산으로도 높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으므로 경영 효율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ROA가 낮다면 기업은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적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OA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A(Return On Asset)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전체 자산으로 얼마의 순수익을 창출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 방법은 당기순이익을 기업의 총자산(자산총계)으로 나눈 값입니다¹.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OA라는 것은 'Return On Assets'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로는 총자산순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이 지표는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얻어지며 특정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