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한의학 이미지
한의학의료상담
한의학 이미지
한의학의료상담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2.01

한방의 뜸 치료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나이
3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한의원서는 침을 놓기도 하고 뜸을 놓는데 그중 뜸 치료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뜸은 어떤 원리로 아픈 곳을 치료하는 것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안녕하세요. 손상진 한의사입니다.

    쑥의 약성이 따뜻한데 그것을 태워서 따라서 제반 한랭성질환에 유효합니다.

    인체의 기운을 사(瀉)하는 침과는 달리, 기운을 보충하여 주는 공효가 있어서 허약성질환이나 만성질환에 효력을 발휘한다.

    오래 된 관절통 신경통 부위에 소화기 비뇨기 계통의 복부에 많이 씁니다.

    현대의학적인 보고로는 조직세포의 기능을 촉진시키고 면역작용을 강화시키며

    적혈구의 혈색소를 증가시키고 지혈·진통·병리조직 제거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역시 과학적으로도 효능이 입증된 것 입니다.

    뜸의 시술에는 크게 직접구와 간접구가 있는데요.

    직접구는 애주를 피부 위에 직접 올려놓고 연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직접구를 하게 되면 피부에 화상이 생겨 물집이 잡히며 화농이 되는데

    이것은 무균성 화농현상으로 생체의 항병능력을 증가시켜 치료효과를 높이게 됩니다.

    요즈음은 아예 고기집처럼 덕트를 만들어서 뜸을 전문하는 한의원도 생기고

    침을 자침하고 그 위에 뜸을 하면 온침요법도 씁니다.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도하윤 한의사입니다.

    뜸(灸) 치료란 한의학적 치료법 가운데 하나로, 체표의 혈자리나 환부에서 쑥이나 약물을 태우거나 김을 쏘여 온열(溫熱)을 가하여 병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불의 온열 자극과 약물의 효과가 경락 경혈을 통과하여 몸 속의 기혈을 정상적으로 소통되게 하고 정기를 회복하게 함으로써 인체 생리 기능의 평형을 찾아주는 일종의 외치법(外治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묵 한의사입니다.

    뜸은 침처럼 직접 신경을 자극하는 치료는 아닙니다.

    몸에 쑥을 올리고 태울 때 발생하는 열기 및 복합적인 요소들이 혈자리에 있는 온각 수용기와 다양상 유해수용기를 자극하여

    체내에 온열자극을 깊이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각종 소화기 질환, 냉증, 자율신경실조 등의 질환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