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선풍기샤워기978
선풍기샤워기97822.10.26

반딧불이는 어떻게해서 몸에서 빛이 날까요?

도시나 요즘 볼수없는 벌레중에 하나가..반딧불이 일거예요.옛날 선비들은 반딧불이로 밤에 글을 읽었다는데..그 조금한 몸에서 어떻게 빛이 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위대한거북이239입니다.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은 공기에 있는 산소와 만나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빛이 발생하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이 반딧불이의 기관 내의 세포가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즉 반딧불이는 발광세포를 가지고 있어서 빛을 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난꾸러기입니다.

    반딧불이의 꽁무니에는 루시페린이라고 하느 발광물질이 있습니다.

    이 루시페린은 산소와 만나게 되면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를 통해 화학반응을 일으키고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로 바뀌면서 빛을 뿜어내는 것입니다.

    또한 반딧불이 배 끝의 한 두 마디는 다른 마디보다 얇아서 불빛이 밖으로 잘 비쳐 보입니다.

    전구 등 인공조명은 빛과 함께 열을 발산합니다.반딧불이 같은 생물이 만들어내는 빛으 ㄴ열이 나지 않는 차가운 빛입니다. 거의 100퍼센트의 에너지를 빛으로 바꾸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화려한텐렉156입니다.


    반딧불이의 꼬리부는 발광세포와 반사세포로 된 발광조직이 있고 그안에 혈관과 모세기관이 얽혀져 있습니다.

    발광세포는 빛을 만들어 내는 곳인데 이곳에서 루시페린이나 루시페라아제라는 물질이 산화돼 루시훼라자라는 효소와 결합하면서 빛을 만들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빛은 반사판 기능을 하는 반사세포로 되돌아와서 몸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6

    안녕하세요. 강력한날다람쥐입니다 반딧불이의 몸 안에 그러니깐 정확히 말하면 배의 끝 부분에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가 산소와 결합하며 빛을 발산합니다. 이 루시페라아제는 반딧불이 배에 특수한 발광 세포인 루시페린이라는 화학물질에 의해 생성되는데요. 루시페린이 활성화되면 루시페라아제가 분비되고, 분비된 루시페라아제가 산소와 결합하여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만들게 됩니다. 옥시루시페린이 빛을 내는 빛 에너지 물질이 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