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꿈꾸는요셉
꿈꾸는요셉23.02.03

산에서 메아리가 울리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등산 후 정상에서 야~ 호 등 소리를 지르면 소리가 울리는걸 느낄 수 있는데요.

다른곳에서는 소리를 크게 질러도 울리지 않는거 같은데 유독 산에서는 소리가 울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소리는 진동을하는 파장입니다.

    따라서 공기를 통해서 소리가 전달되는데,

    산에는 다른 산에 의해 진동이 다시 튕겨져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공기에서 다시 진동시키면서 소리가 돌아오게 되고, 이것이 메아리가 되어 울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3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메아리의 원리는 산이나 골짜기처럼 상대적인 반사면이 있는 위치까지 소리를 진행시켜 되돌아오게 하는 것입니다.

    보통 성대가 잘 발달한 인간들도 메아리를 내기 위해서는 큰 소리를 지속적으로 내어야 반사면에 도달하게 됩니다. 메아리는 반사시키는면이 음원에서 적당히 떨어져 있고, 대기 속에서의 소리의 감쇠가 작을 때일수록 잘 들리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메아리가 생성되는 원리는 소리가 산이나 벽 등에 부딪히면서 공기를 진동시키고 돌아오는 원리입니다.

    소리는 단단한 곳에 부딪히면 튕겨서 돌아오게 되는데, 반대편 산에 부딪혀 공기를 진동 시켜서 돌아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소리가 갈 때 대략 1초, 돌아올 때 1초 정도의 시간이 평균적으로 소모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ㅂ가동입니다. 그래서 벽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반사되어 오는데요. 메아리도 이런 소리가 반대편의 산에 의해 반사되는 현상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