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기민한돌꿩258
기민한돌꿩25822.12.07

하늘에 보이는 별들이 지구처럼 행성이 아니고

하늘에 보이는 별들이 지구처럼 행성이 아니고 은하계 인가요? 하늘에 보이는 별은 광속으로 얼마나 가야 할까요?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 망원경 없이 볼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7

    태양계내에 있는 행성은 태양빛이 반사되어 밝게 빛나는 것입니다. 물론 망원경이 있어야 형상을 볼수 있고 육안으로는 조그마한 빛으로 보입니다.

    그 이외에 보이는 별들은 대분분 태양과 같이 핵 융합반응으로 스스로 빛을내는 항성 입니다.

    눈으로 보이는 별들은 몇광년부터 천광년이상 떨어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반짝이는 물체로는, 별, 별이 모인 은하, 가까운 행성, 인공위성, 성단, 성운 등등 다양합니다.


    떨어진거리도 수만키로부터 수억광년까지 너무 광범위합니다.


    멀리 떨어질 수록 밝게빛나거나 많이 뭉쳐있어야 우리지구까지 빛이 도달할 수 있긴합니다.


    즉, 먼곳의 빛나는천체는 거대하거나 밝게빛나는 천체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의 별들은 수천광년에서 수억광년 이상 떨어진 것들 입니다. 천체 망원경으로 보면 보일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밤하늘의 별들은 그 거리가 멀어서 점으로 보이는 것이지 실제로는 외계 은하인 경우도 있으며 단일 행성이 빛을 반사하는 것도 있고 항성인 것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주로 항성입니다. 태양계에는 하나의 항성이 존재하죠, 바로 태양입니다.

    태양을 제외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이며, 대략적인 거리는 4.2광년 즉, 빛의 속도로 4.2년을 가야 도달할 수 있는 거리입니다.

    2022년, 6월 26일 태양계의 행성 5개가 일렬로 늘어서 한번에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시기가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보이는건 행성입니다. 이 행성이 태앙빛에 반사되서 지구 표현에 있는 인간들이 볼수 있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