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주택 양도소득세가 궁금합니다.
할아버지가 90년도에 취득하신 용산 아파트 95년에 큰 아버지와 저희 아버지께로 지분이 나뉘어 상속됐고 저희 아버지는 10년이상 실거주 했었습니다. 이번에 총 매매가 20억으로 큰 아버지 지분12억, 저희 아버지 8억으로 매매하게 됐는데요. 궁금한 점 몇가지가 있습니다.
1.저 지분외에는 현재 다른 주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데 양도소득세 비과세 대상이 될까요?
2.만약 양도소득세가 발생한다면 장기보유특별공제 받을 수 있나요?
3.양도소득세 신고할 때 취득가액이 1억이면 저희 아버지 지분40%만큼인 4천만원만 취득금액으로 신고하면 되는게 맞나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화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1), 3) 1세대 1주택의 경우 비과세요건 충족시 고가주택 양도시의 양도가액 12억원까지의양도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비과세 적용 가능합니다.
이 경우 동일한 주택을 지분으로 보유하다가 양도시 주택의 전체 양도가액에서 취득
가액과 필요경비를 차감한 후의 양도차익에서 장기보유특별고제를 차감한 금액인
양도소득금액을 지분별로 안분하여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2) 만 3년 이상 보유시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적용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완 세무사입니다.
1세대1주택 비과세는 12억이하의 주택에 대해서 해당되며, 지분이 있는경우에도
하나의 주택에서 12억까지 비과세
초과분에서 양도소득세가 과세됩니다.
1. 비과세는 아니지만 1세대1주택 규정으로인해 8억의 40프로인 3.2억에 대해서만 양도가액이 측정됩니다.
2. 네 장기보유특별공제됩니다.
3. 네, 취득가액역시 지분율에 따라 책정됩니다.
양도소득세는.1세대 1주택, 취득가액선정 등 다양한 조세 혜택이 있습니다.
전문가와 상담, 절세 컨설팅이 필요하시다면
문의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
해당 주택이 12억을 넘겨서 1세대 1주택 고가주택 양도소득세가 발생 할 것으로 보이고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은 되는데 거주와 보유 요건 각각 따져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속 당시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지분율에 맞게 나누시면 취득가액 계산은 가능하실 걸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1. 불가능합니다. 전체 가격이 12억을 초과하므로 일부 양도세를 납부합니다.
2. 장기보유특별 공제 가능합니다.
3. 네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성진 세무사입니다.
1세대가 1주택의 지분을 보유하는 경우에도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10년이상 실거주한 경우에는 최대80%의 장기보유공제가 가능합니다.
총 양도대금과 취득대금을 지분 40%를 계산한 금액으로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