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세 시행중인 나라는 어디일까요?
요즘 금투세 때문에 투자하시는분들이 걱정도 많고 말도 많이 나오자나요?
지금 현재 금투세를
적용중인 나라는 어디일까요?
+ 나라별로 세금 차이도 많이나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투세 시행중인 나라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융투자소득세와 거의 같거나 비슷한 제도를 도입해서 시행중인 곳들은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대부분 시행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MSCI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경우 증권거래세가 없거나 미미한 수준이고 금융투자에서 발생한 양도 차익 전체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MSCI에서 선진국(DM)이 아닌 Emerging Market으로 분류되고 있다. 싱가포르, 홍콩, 뉴질랜드 등도 금투세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대만의 경우 1989년 상장주식의 양도차익에 대해 최대 50% 세율의 세금을 부과하는 금투세를 도입했지만 한 달만에 주가가 30% 넘게 떨어지는 부작용을 겪으면서 시장이 폭락하자 1990년 폐지한 바 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영국, 미국, 일본은 비슷하게 정책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물론 세부적인 세금은 차이와 방법론은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이들은 금융선진국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
그들은 배당세, 거래세가 없거나, 소액주주 보호가 잘되는 편이라 생각합니다.
대만, 중국, 홍콩 등은 아직 금투세가 없습니다.
1명 평가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는 금융 투자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제도입니다.
여러 나라에서 시행 중이며, 각 나라의 세율과 과세 방식이 다릅니다.
미국은 자산 보유 기간에 따라 단기(1년 이하)와 장기(1년 이상) 자본 이득에 다른 세율을 적용하며, 영국은 소득 수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반면, 싱가포르와 스위스는 자본 이득세를 부과하지 않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입니다.
덴마크는 최대 42%의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반면, 그리스와 헝가리는 15%의 낮은 세율을 적용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투세와 같은 경우에는
금융 선진국들에서 많이들 도입하였고
대표적으로 미국, 영국, 일본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경우 사실상의 금투세를 시행하고 있고, 나라 별로 어느정도 세금 차이도 있긴 합니다. 하지만 이들 시장은 시장의 '펀더멘탈(기초체력)'이 탄탄한 국가들인데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으므로 유예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잘 산다고 하는 나라는 하고 있습니다 오래전부터 미국 일본 영국 독일 이러한 나라고 약간씩 세율 차이는 있지만 거의 비슷한 부분이 많고 세부 사항은 따로 들어가야 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자본 이득세가 있으며, 단기(1년 미만 보유)와 장기(1년 이상 보유)로 나뉘어 세율이 다릅니다. 장기 자본 이득세는 0%, 15%, 20%로 구분됩니다.
일본: 주식 양도소득에 대해 15%의 세율이 적용되며, 지방세가 추가로 부과되어 총 20%가 됩니다.
독일: 주식 양도소득에 대해 26.37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프랑스: 자본 이득세는 30%로, 사회 보장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명 평가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등 금융투자로 얻는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미국, 영국, 일본, 유럽연합의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나라별로 세율과 과세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