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외 주차 차량에 물방울이 맺히는 과학적 원리는 뭔가요?
주로 실외 주차장에 주차를 하는데 어떤 날은 물방울이 많이 맺혀있고 어떤 날은 전혀없습니다. 그냥 더 추운 날 많이 생기는건가 싶었는데 오늘 아침은 기온이 낮았는데도 물방울이 없더라고요. 주차는 보통 비슷한 곳에 하고 비슷한 시간에 출근합니다. 차량에 물방울이 맺히는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차량의 외부 판은 보통 금속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금속은 공기가 차가워지면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함께차가워지지만 공기는 그렇지 않습니다.
때문에 주변공기보다 보통 차가운 성질을 띠고있는데, 지나가던 공기가 해당 금속에 액화되어 이슬로 변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요새 같은 추운 날씨에 외부 공기는 차가워집니다. 상대적으로 공기 순환이 되지 않은 내부 공기는 따뜻합니다.
그렇게 되면 외부 공기의 수분이 따뜻한 차와 만나면서 수분으러 바뀌게 됩니다. 그래서 실외 차량에 물방울이 맺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수증기가 존재합니다.
차의 내부와 외부 중 한쪽이 따뜻하면서 습하고, 다른 한쪽은 건조하고 차가울 때 습기가 액체로 응결되면서 생기는 것이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습한 날 물방울이 맺힐 수 있습니다.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고 기온이 떨어진 새벽에 이 수증기들이 물이되어 물방울을 맺히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차량이나 식물 등에 이슬이 고여있게되죠. 그런데, 현재 가을과 겨울 같이 건조한 계절에는 공기 중 수증기량이 거의 없어 기온이 떨어져도 이슬이 잘 맺히질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