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동양에서 처음으로 베트남과 상호관세 40%에서 20%로 확정 되었다고 하는데 우라나라 전망은요?
미국-베트남 무역합의 타결,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했는데, 양국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이를 20%로 대폭 인하하기로 한 것입니다.우리나라의 전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협상이
순조롭지 못하고 이웃 일본에는
버릇을 잘못 들였다는 발언까지
하고 있는걸 보면
우리나라에도 강도 높게 접근을
할것 같습니다.
방위비 증액 문제도 걸려있어
협상이 쉽지 않을듯 한데
이재명 정부의 외교 협상력에 기대를
할수밖에 없을듯 합니다.
이제 정말 궁금했다면 아마 경제쪽 전문에 질문을 하셨겠지요.
미국과 베트남의 관세 인하는 베트남 제품의 대미 수출 경쟁력을 높여 우리나라 기업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의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 지는 사실 모르는 일이죠,
트럼프는 워낙에 지 기분대로 숫자가 왔다갔다 하니까요.
우리로서는 한미 FTA 틀 내에서 협상과 조율이 필요해 보입니다.
미국과 베트남의 무역합의로 상호관세율이 46%에서 20%로 대폭 인하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베트남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어 우리나라와의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습니다.
베트남이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가격 경쟁에서 불리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기업에게도 기회는 존재합니다. 우리나라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품질과 기술을 강화하고 베트남 시장에서의 기회를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호관세 20%면 베트남은 버틸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수출이 확연히 줄어 들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상당한 양보를 해야 상호관세를 낮추고 협상을 할 수 있는데요, 지금으로는 쉽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