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범한비둘기176
비범한비둘기17623.02.24

고양이는 빛이 어두울 때 얼마나 잘 볼 수 있을까요?

고양이의 눈은 어두울 때 더 잘 볼 수 있게 발달해 있다고 들었는데요.

부엉이도 어두울 때 더 잘 볼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고양이는 얼마나 어두울 때 더 잘 볼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의 동공은 사람보다 3배 확대 가능하여

    단순 계산으로 사람보다 밤에 3배 더 잘 볼수 있습니다

    적은 빛으로도 밤에 볼수 있는거죠


    특히 수염 역시 센서역할을 해서 밤에 부딛치지 않고 이동할수 있게 돕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의 눈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을 가지고 있어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받으면서 보다 더 잘 볼 수 있도록 발달하였습니다. 이러한 반사막은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확보하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부엉이와 다른 야행성 동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는 비교적 어두운 환경에서도 높은 시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양이의 눈동자가 특별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고양이의 눈동자는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이러한 눈동자 모양은 빛이 적게 들어오는 어두운 환경에서 눈동자를 최대한 크게 열어 더 많은 빛을 받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고양이는 야간 시야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어두운 밤에도 잘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밤에도 6m ~ 10m 떨어진 거리에서 물체를 구별할 수 있고, 일부 고양이는 15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도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는 어두운 환경에서 잘 볼 수 있도록 눈의 해부학적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인간의 눈에 비해 고양이의 눈동자는 더 크고, 수정체의 두께와 형태도 다릅니다. 또한 고양이의 눈에는 태양빛이나 백열등 등에서 나오는 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타피콜'이라는 특별한 층이 있어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잘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양이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잘 인식할 수 있으며,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어두운 밤에도 높은 시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