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헐벗은실오라기114
헐벗은실오라기11423.01.24

씨름은 언제부터 전해져 내려온 건가요?

설날 연휴때 티비에서 씨름을 봤습니다

우리 나라 전통 스포츠? 라고 해야되나요

여튼 아직까지 명맥을 이어오긴하지만 예전처럼 큰 인기는 없어서 안타까운데요

씨름은 언제부터 시작해서 전해져 온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우리 나라의 씨름은 고구려의 수도였던 만주(滿洲) 퉁화성[通化省] 지안현[輯安縣] 퉁거우[通溝]의 환도성(丸都城)에서 발견된 각저총(角抵塚)에 씨름하는 벽화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 때 이미 씨름이 널리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또 고려시대에는 《고려사(高麗史)》권36에 "충혜왕(忠惠王) 원년(1339년)에 왕이 나랏일을 총신들에게 맡기고 매일 궁중에서 잡무에 종사하는 소동들과 씨름을 하여 위와 아래가 없더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도 씨름이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씨름은 널리 보급된다. 《세종실록(世宗實錄)》권31에 두 사신이 목멱산(木覓山;지금의 남산)에 올라 역사들에게 씨름을 시키라고 하였고, 세종(世宗) 13년(1431)에 왕이 경회루에 앉아 씨름을 하게 한 뒤 차등으로 상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 《명종실록(明宗實錄)》권26과 《현종실록(顯宗實錄)》권7 등에 씨름에 관한 내용이 나오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5월 단오조>에 금산지방(지금의 김천) 풍속으로 단옷날에 수천 명이 씨름을 구경했다는 기록 등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씨름이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널리 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임란(壬亂)과 호란(胡亂)을 겪은 후 무예수련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국가에서 장려하는 무예의 일과로 공식화되었다.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 보면 현종(顯宗) 때 무예청(武藝廳)에서 각저를 무과시험 종목에 포함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씨름이 공식화되자 전국 각지에서 씨름이 되살아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쟁의 양상이 달라지고 시대의 변천에 따라 군인의 무예로서보다 민속놀이로 발전해 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꼬꼬댁 힘센 큰닭235입니다.씨름은 상고시대부터 시작된 운동이며 어떻게 게임룰이나 기술이정해진 과정은 알수 없으나 각종기록 통해 유추해볼수 있습니다.씨름 어원은 15세기 이후에 실흠으로 부르다가 실흠을 거쳐 오늘날의 씨름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4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이 되는 만주의 고구려 고분을 보면 씨름을 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력한웜뱃228입니다.씨름은 무기가 발명되기 이전, 인간이 맹수(猛獸)나 기타 종족에게 지배당하지 않기 위해 오로지 자기의 힘과 체력으로 싸워서 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 됐습니다. 즉, 씨름은 원시시대에 자기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생활의 수단으로 행해진 것이죠. 그러다 농경생활이 시작되면서 점차 오늘날과 같은 놀이로 발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