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3.08.20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개념은 어디에서 처음나왔나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하는 주장이 역사에서 처음 보이는것은 어느시대였나요? 서양뿐아니라 동양에서도 이러한 주장이 나타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개념은 인류 역사의 여러 시대와 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였습니다. 이 개념은 특정한 시기나 장소에서만 탄생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상 및 사회 운동의 결과로서 형성되었습니다. 아래는 이 개념이 나타난 몇 가지 중요한 시점과 영향을 미친 사상들에 대한 예시입니다:

    1. 고대 그리스 철학: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과 권리에 대한 논의를 펼치면서 평등의 개념을 다루었습니다. 특히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은 인간 본성에 따른 동등한 권리와 자유를 강조하였습니다.

    2. 프랑스 혁명 (1789-1799): 프랑스 혁명은 "자유, 평등, 형제애"를 중요한 슬로건으로 내세웠습니다. 이로 인해 평등의 개념이 더욱 강조되었고, 사회 계층 간 불평등과 특권 체제에 대한 반발이 확산되었습니다.

    3. 미국 독립선언 (1776): 미국 독립선언은 "모든 사람은 생성주에 의해 평등하게 창조되며, 생명, 자유, 행복 추구 권리를 빼앗을 수 없다"는 문구로 시작하여 평등과 개인의 권리에 대한 원칙을 선포했습니다.

    4. 국제 인권 선언 (1948): 유엔에서 채택한 "세계인권선언"은 인간의 타고난 권리와 가치를 보장하며, 모든 인간이 평등하게 대우받을 권리가 있다고 선언하였습니다.

    이처럼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개념은 시간과 문화를 넘어 다양한 철학적,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서 부각되었으며, 현대 인권 이론과 국제 인권 원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양의 만민 평등 사상은 묵자의 노예도 인간이다라는 만민 평등입니다. 이 만민평등 사상은 묵자의 겸애(兼愛)와 공자의 인(仁)에서 각각 말하고 있는 '사랑'이란 것이 아주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설명해줍니다. 내 몸 아끼듯 두루 사람을 사랑한다는 묵자의 겸애(兼愛)는, 모든 인간을 나와 동등한 인간으로 대해야 한다는 평등의 논리를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