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Thank you~
Thank you~23.02.03

비행기 고도가 어느정도 올라가면 귀가 너무 아픈데 왜 그런걸까요?

비행기를 타면 해외갈때 어느정도 고도를 높이면 귀가 몹시 아픕니다. 그러다가 다시 고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괜찮아지는데 왜 그런걸까요? 사람마다 귀가 고도도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스타키오관은 귀에 들어오는 기압을 조절해줍니다.

    그런데 귀가 멍해진다는 것은 유스타키오관이 기압을 유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비행기의 기압에 의해 고막의 모양이 달라지는데, 평상시 평평한 고막이 기압이 강한 쪽으로 밀려서 멍해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입으로 소리를 내거나 침을 삼키면 다시 압력이 조절되어 괜찮아지게 됩니다.


  • 비행기가 상승하면 고도가 높아지고 기압이 낮아지면서 비행기 안과 외부의 기압 차이가 커져 귀가 아플 수 있습니다. 이는 귀와 코, 목이 연결되어 있는 이어관이라는 관에 공기압 차이가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이어관은 공기압 차이를 균형시키기 위해 귀의 자연스러운 기능인 이명을 일으키며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합니다. 고도가 낮아지거나 비행기가 착륙할 때는 기압이 다시 올라가면서 이어관의 공기압 차이가 줄어들어 귀가 풀리게 됩니다. 사람마다 이어관의 형태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귀가 고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수시로 귀를 굴리거나 삼키는 등의 방법으로 귀를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곳에 올라가면 압력이 강해서

    귀를 세게 막아버리기 때문에 귀가 멍 해지는 것이구요

    침을 삼키면 귀에 누르고 있던 압력이 식도를

    건드려 식도가 압력을 밖으로 내 보냅니다

    다시 말하자면 압력이 들어오는 방패를 내주는 셈이지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3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귀에는 유스타키오관이라는 관이 있어

    압력의 변화에 따라 적응하는 역할을 해주는데요

    고도가 갑자기 높아지게되면 이 관이 정상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기때문에 귀가 아프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