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얼음은 투명한 색인데 왜 빙하색깔은 푸른색인가요?

얼음은 투명한 색인데 왜 빙하색깔은 푸른색인가요? 전 이게 늘 궁금했어요. 대체 원인이 뭘까요? 무슨 색소같은게 있는데 안보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가 푸른 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얼음이 빛을 투과할 때 파장이 더 긴 쪽인 적색과 주황색이 빨리 흡수되고, 파란색과 초록색이 더 많이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레이리히 산란(Rayleigh scattering)이라고도 합니다.

    즉, 빛의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초록색이 얼음에서 산란되어 반사되고, 빛의 파장이 긴 적색과 주황색은 얼음에서 흡수되어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빙하가 푸른 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레이리히 산란 현상은 대기 중의 먼지, 연기 등도 같은 원리로 인해 빨강, 주황, 노랑 등의 파장이 흡수되고, 파랑, 초록 등의 파장이 더 많이 반사되어 푸른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빙하가 푸른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레이리 흡수(Le Rayleigh scattering)에 기인합니다. 이는 빛이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산란되는 현상으로, 빛 파장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인 파랑색이 가장 강하게 산란되어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빙하가 투명하면서도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은 빛이 빙하 안에서 반사하고 산란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현상으로 인해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것도 같은 원리로 설명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투명한 이유는, 얼음 내부에서 빛이 전부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빙하는 매우 높은 압력의 결과로 얼음 결정이 크게 변형되어, 얼음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방식이 달라집니다. 이러한 변형된 얼음은, 특히 빛의 파장이 짧은 파란색에 대해서는 흡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빙하는 파란색을 띄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빙하의 색은 얼음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빙하가 매우 두껍거나 깨끗한 얼음일 경우에는 더 많은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밝고 투명한 색상을 띠게 됩니다. 반면에, 빙하가 얇거나 오염된 얼음일 경우에는 빛이 더 많이 흡수되어 더 어두운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따라서, 빙하가 파란색인 것은 얼음 결정이 변형되어 파란색 빛을 흡수하기 때문이며, 빙하의 색깔은 빙하의 두께와 오염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과 빙하의 두께' 에 관련이 있습니다



    빙하와 같이 커다란 얼음은 푸르게 보이나


    일반적으로 작은 얼음은 투명하거나 하얀색이지요


    왜 그럴까요?



    바로 두께 때문입니다



    햇빛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빨주노초파남보'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빛의 색깔들은 얼음을 만나면 쉽게 흡수가 되지요



    그중 빛의 빨간색계열은 파장이 길어 얼음 깊숙히까지 들어갈 수 있지만


    파란색계열은 파장이 짧아 깊숙히 들어가지 못하고 얼음 표면에서 쉽게 산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성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 얼음이 처음 얼면 기포로 채워집니다. 그 얼음이 맨 위에있는 어린 얼음 밑에 묻히고 찌그러짐에 따라, 오래된 얼음은 푸른 색조를 띠기 시작합니다. 얼음이 밀도가 높아지면 거품이 점점 작아집니다.


    기포의 산란 효과가 없으면 빛이 얼음을 더 깊이 침투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눈에는 고대 빙하가 필터처럼 작용하여 빨강과 노랑 빛을 흡수하고 푸른 빛을 반사하여 빙하의 아름다운 푸른 색조를 만듭니다.


    반대로, 눈은 기포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하얀색입니다. 갓 부은 소다가 거품이 있고 연한 색의 거품이있는 것처럼 눈은 하얀 빛의 전체 스펙트럼을 다시 반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두께 때문입니다.우리가 볼수 있는 가시광선중 파란색계열은 다른색에 비해 파장이 짧아 깊숙히 들어가지 못하고 얼음 표면에서 쉽게 산란이 됩니다 때문에 우리 눈에는 이렇게 표면에서 산란된 파란색계열 위주로빛이 들어오게 되어 우리 눈에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푸른 빛을 띠는 이유는 빛이 빙하를 통과할 때 붉은빛은 흡수되는 반면 푸른빛은 반사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반사되는 푸른빛을 우리 눈으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에 포함된 산소에 의한 빛의 반사 때문입니다.

    빙하는 쌓인 눈이 오랜 시간 압축되어 만들어집니다. 눈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배출되면서 투명도는 더욱 높아지는데, 이때 붉은빛은 흡수하기 쉬워지고 파란빛은 반사하기 쉬워집니다.

    즉, 태양광이 빙하를 통과할 때 파란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파란 빛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참고로 빙하 중 하얀색의 빙하는 빙하가 만들어진 이후로도 녹고 얼기를 반복하며 빙하에 여전히 높은 농도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빛의 파장에 있습니다. 인간은 빛이 사물에 닿았을때 발생하는 파장을 감지하여 식별합니다.

    그리고 그파장이 작으면 파랗게 보이는데 빙하속에 들어간 빛이 여러물질에 의해 깨지고 부서져서 파장이 작아지고 그래서 파래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