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다람쥐 268
다람쥐 26822.10.01

얼음을 얼리면 불투명하게 되는 이유?

얼음 얼리면 색깔이 불투명해지는데

다른 얼음들을 보면 또 투명한것도 있거든요

뭐에 따라서 투명도가 결정되는건지

엄청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바깥부터얼게되면 내부에 공기가 갇혀 불투명해집니다.


    투명한 얼음은 고드름과 같은 방식으로 켜켜히 얼리는방식으로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진솔한 과학 전문가입니다.

    물 속에는 공기가 녹아있습니다.

    그러나 얼음은 기체를 함유하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물이 어는 과정에서 공기가 작은 기포들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포들이 얼음 속에 갇혀 빛을 산란시켜 얼음이 흰색을 띄는 것입니다.

    투명도는 이런 물속에 녹아 있는 용존 공기가 얼마나 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투명도를 높이려면 물속이 있는 용존 공기를 빼주면 된답니다.

    쉽게 물을 끓이고 식힌 후 얼리면 용존 공기가 거의 빠져나가 투명한 얼음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무 처리 없이 우리가 얼음을 얼리게 되면 기포가 같이 얼게 되면서 불투명하게 얼게 됩니다.

    그래서 투명하게 얼게 하기 위해서는 기포를 빼주는 처리를 해준 상태에서 얼려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불투명한 이유는 얼음이 얼면서 내부에 공기방울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내부에 공기가 없다면 투명한 얼음을 만들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얼기전에 물 내에 기체가 많이 함유된 경우에 얼게 될 시 뿌옇게(불투명하게)될 수 있습니다.

    기체높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낮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그래서 시원한 물의 경우나 수돗물의 경우에 이산화탄소나 다른 종류의 기체가 녹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체가 포함된 물을 얼리게 되면, 물은 얼지만 기체는 얼지 않고 얼음에 갇히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얼음이 불투명하게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투명한 얼음을 만들고 싶으시다면제된 순수한 물을 사용하여 얼리시거나, 물을 한 번 끓인 뒤(기체가 다 날아감) 따뜻한 물을 얼리시게 되면 투명한 얼음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물 안에는 여러 기체가 섞여있습니다.

    그리고 온도가 낮으면 기체는 더 많이 녹아있습니다.

    그런데 물의 온도가 올라가면 기체는 물 속에 있지 않고 물 속에서 빠져나가려고 합니다.

    겨울철의 물이 굉장히 차갑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틀어 따뜻해지면 물 속에 있던 산소가 빠져나가게 되고,

    산소 기포가 생겨 물이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기포가 물속에서 빛을 난반사시켜 불투명한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백수현상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