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똑똑한파리매91
똑똑한파리매91

빙하는 왜 파란색으로 보이는 걸까요?

빙하는 보면은 파란색으로 보이는 빙하가 있는데, 얼음이면 하얀색으로 보여야 하는것 같은데 어떻게 이런색을 낼수 있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색을 본다는 것은 어떤 물체가 빛을 받아서 흡수하지 못하는 색을 반사하여서 그게 사람의 눈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얼음과 눈의 결정은 모든 빛을 반사하여서 우리 눈에는 흰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빙하는 추운 날씨가 지속되면 눈이 녹지 않고 계속해서 쌓이게 되면서 눈과 얼음에 의해서 눌려서 눈의 입자가 파괴되고 부분적으로 녹기도 하다가 다시 결정을 형성하게 되는데요. 이 결정을 빙하라고 합니다. 이 빙하는 파란색을 빼고 나머지 빛은 흡수해서 우리 눈에는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빙하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투명도가 더욱 높아지는데 붉은빛은 흡수하기 쉬워지고 파란빛은 반사해 버려 우리 눈에 파랗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와 같이 거대한 얼음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두께 때문입니다. 햇빛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다양한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중 파란색계열은 다른색에 비해 파장이 짧아 깊숙히 들어가지 못하고 얼음 표면에서 쉽게 산란이 됩니다 때문에 우리 눈에는 이렇게 표면에서 산란된 파란색계열 위주로빛이 들어오게 되어 우리 눈에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이 얼음 내부로 들어갔을 때, 파란색 빛이 다른 색의 빛보다 더 많이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빛은 다양한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파장의 빛이 물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빛이 얼음 내부로 들어갈 때, 빨간색과 노란색 빛은 얼음에서 흡수되어 거의 반사되지 않고, 파란색 빛은 거의 흡수되지 않고 반사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얼음은 파란색 빛을 반사하여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또한, 빙하가 더 깊은 층으로 내려갈수록 파란색빛이 더욱 강하게 반사되는 이유는, 얼음의 높은 밀도로 인해 빛이 얼마나 멀리까지 퍼질 수 있는지에 따라, 더 깊은 층으로 들어가면서 빛이 진폭을 잃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빙하가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은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해하면, 다른 물질들이 왜 특정한 색으로 보이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과 빙하의 두께' 에 관련이 있습니다



    빙하와 같이 커다란 얼음은 푸르게 보이나


    일반적으로 작은 얼음은 투명하거나 하얀색이지요


    왜 그럴까요?



    바로 두께 때문입니다



    햇빛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빨주노초파남보'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빛의 색깔들은 얼음을 만나면 쉽게 흡수가 되지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은 빛의 광선이 얼음 내부로 들어가서 반사되고 흡수되는 과정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햇빛이 눈과 얼음에 반사될 때, 분광분석을 통해 빛이 분산됩니다. 빛 중 파란색, 초록색 및 보라색은 더 짧은 파장을 가지므로 분산이 더욱 강합니다. 이러한 파란색 빛은 다른 색상의 빛보다 얼음에서 더 많이 흡수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가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광원과 관련이 있습니다. 빛은 일반적으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의 색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색깔들은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됩니다.

    빙하는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빛이 빙하에 닿으면, 일부는 표면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빙하 내부로 흡수됩니다. 파란색은 빛의 파장이 가장 짧은 색깔 중 하나이기 때문에, 빙하 내부에서 빛이 많이 흡수될 때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반면, 노란색이나 주황색은 빛의 파장이 더 길기 때문에 빙하에 흡수되는 빛이 적어 하얀색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또한, 빙하 내부에서 얼음 결정의 구조와 불순물의 양에 따라 빛이 다르게 반사되는데, 이것도 파란색 빛이 더 많이 반사되기 때문에 파란색 빛이 강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빙하가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은 빙하의 구조와 빛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어떤 경우에는 하얀색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광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색깔의 빛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빛은 빙하의 표면에 닿으면 일부는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빛은 빙하 안으로 통과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파란색 빛은 다른 색깔의 빛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빙하 안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잃게 되고, 따라서 빙하 안에서 더 많이 흡수됩니다. 이런 이유로 빙하 안에서 파란색 빛은 다른 색깔의 빛보다 더 많이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빙하가 파란색은 아니구요...ㅎㅎ

    오랜동안 녹지않고 태초부터 얼어붙어서 녹음이 전혀 없었고 누적된 빙하가 주로 파란색을 띕니다.

    이는 얼었다 녹았다하면서 빙하속 산소가 빠져나가면 주로 하얀색을 띄고 수천년전의 얼음이 녹지않고 오랜동안 빙하상태로 되어 있으면

    산소의 유출이 없이 파란색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만년설을 보면 하얀색, 하늘색, 파란색...정도로 색의 농도차이가 잇는것은 내부 산소포함 정도에 따라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보이는 얼음 안에는 공기가 섞여있습니다. 그리고 밀도 또한 높지 않고요.

    그렇게 되면 빛이 산란되어 다시 방출하게 되어 하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뿌옇게도 보이고요

    빙하는 고압으로 눌러진 얼음으로 공기층이 없어 빙하로 들어온 빛이 잘 산란되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어두운 색 또는 청색계열로 보이게 됩니다. 표면에서 파란색 계열 위주로 반사가 일어남.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빙산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scattering)과 관련이 있습니다.

    얼음은 물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물질입니다. 따라서, 빛이 얼음에 닿으면 대부분이 투과되거나 반사됩니다. 그러나 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은 분자 크기와 비슷한 크기로 산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산란된 파란색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해서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반면에, 빛 중 파장이 긴 빨간색 빛은 더 큰 파장으로 산란되기 때문에, 산란된 빨간색 빛은 우리 눈에 도달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빙산은 파란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빙산은 녹아서 물로 변할 때까지 오랜 시간 동안 눈과 바람, 태양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빙산은 표면에 먼지, 진흙, 해조류 등의 물질이 덮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빙산의 색깔이 흰색에서 다른 색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