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멸종된 동물이 있나요?
우리나라에도 표범이나 호랑이가 살았었다고 하는데요
표범이나 호랑이처럼 우리나라에서 멸종된 다른 동물들은 무엇이 있나요?
서호납줄갱이
멸종상태 : 멸종
멸종시기 : 1935년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특이하게 경기도 수원시 서호에서만 살았던 특산종이다.
서호납줄갱이는 1913년 미국인 조던과 메츠가 수원시 서호에서 채집된 1마리를 신종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1935년 서호둑 공사로 인해 2마리가 채집된 후, 지금까지 채집 기록이 없다.크낙새
멸종상태 : 멸종
멸종시기 : 1993년
한국전쟁 이전에는 황해도, 금강산,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일대에서 볼 수 있는 조류였지만
한국전쟁을 거치고 70년대에 들어서면서 남한에서는 거의 절멸했다.
70년대 부터 90년대 초반까지 경기도 광릉에서 1~2쌍이 명맥을 간신히 유지해 오다가 1993년 이후 명맥이 끊겼고
2017년 환경부는 크낙새가 절멸 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고 멸종위기종에서 제외되었다.
북한에서는 2005년에 멸악산에서 다수 살고 있는 것이 확인된 바 있고
이 사실이 연합뉴스에도 방영된 바 있지만 이 역시 개체군 상태가 양호하진 못하다.대륙사슴 (꽃사슴)
멸종상태 : 멸종멸종시기 : 1940년대
국내에는 과거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의 야산에 널리 분포했으나,
일제강점기 해수구제로 인해 1940년대를 기점으로 절멸된 것으로 간주된다.
현재는 전국 여러 지역에서 사육되고 있으며,제주도 한라산 등지에는 일본산, 대만산 꽃사슴이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서식하고 있다.
강치
멸종상태 : 멸종멸종시기 : 1970년대
해양 포유류의 일종으로 강치라고도 불리는 해양 포유류다.
바다사자는 한때 독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동해 연안에 수만 마리가 살고 있었으나
일본이 바다사자의 고기와 가죽, 뼈를 얻기 위해서 무차별 적으로 포획 되었다.
그 결과 그 수가 무차별 적으로 줄어들었고 1980년대 이전 부터 멸종된 것으로 추정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1991년에는 일본 환경청이, 1994년에는 IUCN이, 2011년에는 한국 정부가 바다사자의 멸종을 선언했다.늑대
멸종상태 : 멸종
멸종시기 : 198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근현대를 거치며 다른 크고 작은 동물들과 함께 씨가 말랐고
그나마 남은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완전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제보에 따르면, 전염병이 돌아서 전멸했다고도 하는데 확인되지는 않았다.
공식적으로는 1967년 경북 영주에서 새끼늑대 5마리가 생포된게 마지막이고,비공식적으로 1980년 경북 문경에서 마지막으로 발견 되었다고 하지만,
1999년 KBS 환경스페셜 제작팀은 경북 지방에서 늑대 흔적으로 보이는 발자국 등을 수집했다.
사육 상태로는 1996년 과천 서울대공원에 있었던 경북 영주에서 생포되었던새끼늑대의 마지막 후손인 개체가 숨을 거두어 절멸되었다.
늑대
광복전에는 한반도의 도처에 서식했다는 보고가 있는데, 일제시대에 무분별한 남획이 늑대 멸종에 큰 이유로 작용하였습니다. 그 당시 사살된 늑대는 공식집계로 1천여 마리가 넘을 정도였다고 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수배에 달할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지요. 가장 최근에 포획된 기록은 1980년 경북 문경에서 포획한 늑대인데 1996년 서울대공원에서 그 마지막 늑대가 죽게되어 멸종이 된 동물로 기록에 남게 되었습니다.
꽃사슴(대륙사슴)
20세기 초 까지는 전국에 분포했지만 이 역시 일제시대 무분별한 남획으로 이제는 거의 찾아볼수 없게된 동물입니다. 사슴농장등에서 보여지는 사슴은 일본이나 만주에서 수입한 꽃사슴으로 한국 토종은 없는 실정입니다.
바다사자
해양동물인 바다사자 역시 일제시대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입니다.
과거 기록을 살펴보면 약 2만여 마리가 독도를 서식지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1905~1912년 사이에 14,000여 마리가 남획 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이제는 거의 멸종된 상태라고 합니다.
반달곰(반달가슴곰, 천연기념물 제 329호)
반달곰 역시.. 일제시대의 남획이 직접적인 요인이었습니다. 거기에 곰의 웅담을 노린 밀렵꾼이 가세하여 멸종의 위기까지 몰고 갔는데, 현재는 지리산과 설악산에 대략 20여마리가 야생상태로 서식하고 있다고 하며, 각 산의 안내판에는 반달곰 주의 표시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황금박쥐(붉은박쥐)
우리나라에 극소수로 전남 강진, 해남등에서 서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불법포획으로 멸종위기에 몰리 동물중 하나입니다.
사향노루(천연기념물 제 215호)
우리나라 산악지역 전역에 분포하던 동물이었는데, 약재로 쓰이는 사향을 얻으려는 밀렵과 환경파괴가 더해져서 거의 멸종 위기 까지 몰렸던 동물입니다. 최근기록에는 1987년 오대산에서 생포후 방사한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산양(천연기념물 제 217호)
우리나라 1천미터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서식하던 동물인데, 서식지 파괴로 인해서 설악산과 비무장지대, 월악산 등의 깊은 산속에만 서식하고 있는걸로 알려졌습니다.
수달(천연기념물 제 330호)
매우 유명한 멸종위기 동물입니다. 모피를 위한 밀렵과 공업발달에 의한 수질오염으로 그 수가 멸종위기까지 줄어들었습니다. 하천이나 호수에서 전국적으로 조금씩 발견이 보고 되고있는데, 최근 경남 진주 진양호 일대에서 40여 마리가 집단 서식한다고 방송에 나온 후 더욱 보호에 관심이 높아진 동물입니다.
시라소니(스라소니)
정확한 표현은 스라소니로 시라소니는 사투리입니다.
고양이과 맹수 중 하나로 아직까지 존재한다고는 하지만 특별히 포획된 사례도 없고 애매한 상태입니다.
여우
최근에 성남에서 포획된 기록이 있는데, 북한이나 러시아에서 들여와 사육하던 여우가 도망친 확률도 있다고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긴 하지만 정확한 기록으로는 1987년 지리산에서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후에 여러번의 조사가 있었지만 흔적을 찾지 못해서 멸종된것으로 여겨졌다고 합니다.
표범
우리나라에도 표범이 실제로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표범은 아무르 표범으로 만주, 연해주, 한국에서 서식하던 종이었습니다.
이 표범 역시 일제시대 해수구제사업으로 멸종위기를 맞았으며, 1962년 경남 오도산에서 생포된 기록이후 더이상 발견된 기록이 없지만 아직까지도 표범을 봤다는 목격담은 계속 있다고 합니다.
호랑이
가장 유명한 우리나라 맹수일텐데 이 역시 일제 때 해수구제사업 이후 멸종되었다고 보고가 되었는데, 아직도 발자국과 영역표시 흔적, 목격담이 전해지며, 얼마전에는 강원도 홍천에서 차앞까지 온 호랑이를 봤다는 목격담도 전해져 왔습니다. 현재 사진으로 남아있는 호랑이는 1924년에 찍힌 사진이 마지막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