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을 지을 때 지진에 어떻게 대비하나요?
지진이 발생하면 건물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초기공사에서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건물의 구조를 지진에 강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내진설계라고 합니다. 이를 위해 건물의
재료와 구조를 지진에 적합한 방식으로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내진 보강재를 사용하거나 건물의 기초를 강화하여
지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지진에 대비한 공법과 시공을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내진설계를 통해서 그동안 데이터 중 강했던 기준에 맞춰서 시공하도록 구조도면을 작성합니다. 그런데 그러한 설계는 구조체가 지진에 버텨낼 수 았도록 설계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피해가 누적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구조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줄 장치를 이용한 면진설계란 것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지반에 고정된 기초와 상부구조물을 일체화하여 지진을 버텨내는 구조체로 만드는 반면 구조체 하부에 면진기초라는 탄성체나 감쇠 장치를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을 줄여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 외에도 고층 건물이나 중요도가 높은 건축물에 진동을 흡수해주는 댐퍼를
설치하여 건축물에 진동을 감쇠시켜는 방식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비용도 많이 들지만 하이테크 장치이기 때문에 쉽게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건축물은 구조체의 강성과 연성을 강화해서 지진에 저항하도록 설계하고 시공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지진은 자연재해이기에 피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내진설계로 지진에 잘 견디고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내진, 면진, 제진의 방법을 사용하에 건물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내진(사림이 대피할 수있도록 지연효과)은 지진을 구조물의 내력으로 감당하고 면진(땅과 건물이 만나는 면을 최소화)은 지진력의 전달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제진(진동의 반대방향으로 건물을 움직여 지진의 충격을 상쇄)은 지진에 맞 대응하는 방법이라고 이해하면 쉬울듯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건물의 층수나 용도, 구조 등 환경적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