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용어 중에 빙하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기후 변화 따른 부작용에 대한 내용을 보던 중에
"기술원은 1946∼1973년과 2006∼2016년 두 차례에 걸쳐 빙하호 형성률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했다. 1차 급증 때는 호수가 매년 평균 8개씩, 2차 때는 18개씩 새로 생겨났다. 특히 2차 때인 2006∼2016년에는 물 표면이 매년 400㎡ 이상 늘어났다." 있던데,
여기서 빙하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호수 또는 연못 등의 총칭으로, 크게 빙하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과 퇴적작용에 의한 것이 있다.
빙하의 침식작용인 빙식작용에 의한 것은 주로 권곡(Kar), U자곡, 또는 산록빙하(山麓氷河)나 대륙빙하의 침식에 의해 생긴 와지 등에 물이 고여 형성된 것을 가리키며, 특히 빙식평원의 특징상 기반암이 불규칙하게 파이거나 하계망(河系網)이 발달하지 못하여 곳곳에 물이 고인 호소가 많다. 빙하의 퇴적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호소에는 빙하 말단에 쌓인 종퇴석 등에 막혀 형성되는 것과 대륙빙하의 밑바닥에서 형성되는 드럼린(drumlin)이나 에스커(esker) 사이에 물이 고여 형성된 것, 또 대륙빙하가 후퇴할 때 형성된 빙력토 평원(till plain) 내 배수가 불량하여 생긴 것들이 있다. 또한 빙하 자체가 물을 막아서 호수가 생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빙하작용을 받은 지역에는 빙하호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핀란드나 스웨덴 같은 북유럽의 나라들이 호수의 나라로 불리는 이유도 바로 빙하호 때문이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빙하가 있던 자리에 물이 고여 호수처럼 된 것을 말합니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런한 빙하호가 늘어나고 있으며 물이 고여 있는 부분이 비로 인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넘쳐 흘러나감에 따라 인근 지역에 홍수 등의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호는 빙하가 녹아서 생긴 공간에 물이 들어가면서 생긴 호입니다. 퇴적물이 쌓여 호수가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호(氷河湖, glacial lake)는 빙하의 후퇴에 의해 녹은 물이 모레인(빙하 말단의 퇴적)에 의해 막히면서 물이 고여 형성된 호수이다. 저수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막힌 부분이 터지면서 심한 토석류가 되어 하류지역에 큰 피해를 가져오는 일이 있다. 히말라야 산맥에는 많은 빙하호가 형성되어 있는데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여름에 눈이 내리지 않고 비가 오면서 빙하가 축소되고 빙하호의 저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에 있어 그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한국에는 빙하호가 없지만 유럽에는 대표적인 빙하호로 보덴호가 있고 북아메리카에는 오대호가 있다.
-위키백과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호"는 빙하가 얼어붙어 있는 지형적 환경으로, 빙하가 녹아 빙하 아래에 물이 채워진 지형을 뜻합니다. 빙하호는 빙하 주변에 자주 발생하며,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물이 채워지기 때문에 빙하호는 보통 아주 차가운 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또한, 빙하호는 빙하 주변 지형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빙하호에서 빙하로 물이 유입되기도 합니다.
한편, 빙하호는 지구과학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빙하호 안에 존재하는 빙하 및 빙하 아래의 물은 지구 기후변화 및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지질학적 기록 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호수 또는 연못 등의 총칭으로, 크게 빙하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과 퇴적작용에 의한 것이 있다.
빙하의 침식작용인 빙식작용에 의한 것은 주로 권곡(Kar), U자곡, 또는 산록빙하(山麓氷河)나 대륙빙하의 침식에 의해 생긴 와지 등에 물이 고여 형성된 것을 가리키며, 특히 빙식평원의 특징상 기반암이 불규칙하게 파이거나 하계망(河系網)이 발달하지 못하여 곳곳에 물이 고인 호소가 많다. 빙하의 퇴적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호소에는 빙하 말단에 쌓인 종퇴석 등에 막혀 형성되는 것과 대륙빙하의 밑바닥에서 형성되는
드럼린(drumlin)이나 에스커(esker) 사이에 물이 고여 형성된 것, 또 대륙빙하가 후퇴할 때 형성된 빙력토 평원(till plain) 내 배수가 불량하여 생긴 것들이 있다. 또한 빙하 자체가 물을 막아서 호수가 생성되기도 한다.
빙하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U자곡에 바닷물이 들어와 형성된 좁고 긴 만(灣). 협만(峽灣)이라고도 한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빙하호는 빙하가 녹아 생긴 호수를 말합니다. 빙하가 녹으면 빙하의 밑에 있던 물은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호수가 생깁니다. 빙하호는 주로 고산지대에 많이 생기며, 그 크기는 다양합니다. 빙하호는 기후 변화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가 녹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빙하호가 생기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빙하호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빙하호가 붕괴되면 홍수나 토석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빙하호는 녹아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 상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빙하호는 기후 변화의 한 가지 증거입니다. 빙하호가 증가하는 것은 지구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빙하호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빙하호의 증가에 대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호는 빙하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호수입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빙하의 무게로 인해 움직일 수 없는 퇴적물인 모레인에 의해 막히면서 물이 고여 만들어집니다. 빙하호는 빙하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지만, 특히 히말라야 산맥, 알프스 산맥, 스칸디나비아 반도 등 고산지대에 많이 분포합니다. 빙하호는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빙하가 녹아서 물이 많아지면 빙하호가 붕괴하여 홍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빙하호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빙하의 앞쪽에 형성되는 전방 빙하호이고, 다른 하나는 빙하의 뒤쪽에 형성되는 후방 빙하호입니다. 전방 빙하호는 빙하가 녹으면서 빙하의 무게로 인해 움직일 수 없는 모레인에 의해 막히면서 만들어집니다. 후방 빙하호는 빙하가 후퇴하면서 빙하가 덮고 있던 지형이 드러나면서 만들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호는 빙하가 녹아서 생긴 호수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빙하의 무게가 줄어들면서 빙하가 덮고 있던 지면이 움직입니다. 이로 인해 빙하가 녹은 물이 고여서 빙하호가 생깁니다. 빙하호는 주로 빙하가 있는 고산지대나 북극 남극 등에서 발견됩니다.
빙하호는 지구과학 용어 중 하나로, 주로 빙하가 녹아 만들어지는 물 웅덩이를 뜻합니다. 빙하호는 빙하 주변이나 끝부분에 형성되며, 빙하가 녹아 물이 고여서 생기는 물 웅덩이를 지칭합니다.
빙하호는 빙하의 녹음과 증발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시기에 형성됩니다. 빙하는 여름철에 녹아서 물이 되고, 주변 온도와 기후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호수를 만들어냅니다. 빙하호는 빙하의 크기와 형태, 주위 지형 등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습니다.
빙하호는 주로 빙하가 녹아난 후에 형성되기 때문에, 빙하의 녹음이나 이동과 관련된 기후 변화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빙하호를 조사하고 관찰하는 것은 지구 온난화와 빙하의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빙하호의 물과 주변 환경은 다양한 생태계의 서식지가 될 수 있어서 생태학적인 연구에도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