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단어가 궁금합니다...!
대충 예금과 적금, 입출금, 금리 같은 기본적인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금 이자에서 단리,복리,일반과세,비과세,세금우대 같은 것의 대해 쉽게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투자도 궁금한데 우선 당장 예금을 하고 싶어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리는 원금에 이자가 붙는 것을 말하고
복리는 (원금 + 이자)에 이자가 붙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과세는 세금을 내는 것 비과세는 세금을 내지 않는 것 세금우대는 저율의 세금을 내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이자에서 단리라고 하는 것은 원금에 대해서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을, 복리라고 하는 것은 원금에 이자를 지급하는 것에 더해서 이자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도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이에요
그리고 일반과세는 이자소득이 발생시에 15.4%의 세금을 내는 것이며, 비과세는 이러한 이자소득에 대해서 15.4%의 세금을 내지 않는 것이지만 해당 요건이 되는 경우에만 되며 일반인분들은 안되다고 보시면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리와 복리는 이자 계산 방식의 차이입니다. 단리 계산은 원금에만 이자를 더하는 방식이고, 복리 계산은 원금과 이자에 이자를 더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복리 계산은 단리 계산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과세와 비과세는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의 차이입니다. 일반 과세는 이자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비과세는 이자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과세 예금은 일반 과세 예금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