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탄소먹는 세균이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원리인지 궁금합니다.

기후 위기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최근 탄소를 먹어치우는 세균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원리로 또는 배양을 통해 세균을 먹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선한유목민
    선한유목민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제가 알기론 이산화탄소를 특정 대사를 할 때 사용하는 박테리아(autotrophic bacteria)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광합성을 통해 해당 반응이 진행된다고 하고, 이산화탄소 입장에서보면 CO2가 빅테리아에 의해서 유기화합물이 되거나 유기화합물에 포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소 먹는 세균은 이산화탄소를 먹고 성장하는 특별한 세균입니다. 이들은 광합성을 하는 식물과 달리 햇빛을 이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유기 화합물을 합성합니다. 탄소 먹는 세균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마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대표적인 탄소 먹는 세균으로는 아세토젠, 메탄생성균, 황산염 환원균 등이 있습니다.

    아세토젠은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이용하여 에탄올, 아세트산, 부탄올 등을 생산합니다.

    메탄생성균은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이용하여 메탄을 생산합니다.

    황산염 환원균은 이산화탄소와 황산염을 이용하여 황화수소를 생산합니다.

    탄소 먹는 세균의 배양은 일반적으로 발효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배양액에 세균을 접종하고, 적절한 온도와 pH를 유지하여 세균이 성장하도록 합니다. 배양액에는 세균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탄소를 섭취하는 세균은 이산화 탄소를 활용한 에너지를 축정하는 세균을 말합니다. 보통은 박테리아 균입니다.

    이러한 세균들은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탄소 중립 기술에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