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23

판소리 유래 역사는 무엇인가요?

판소리를 듣다 보면 이상하게 마음이 평온해지는 거 같은 느낌이 드는데 이런 판소리는 언제 어떻게 시작을 하게 되었는지 그 역사와 유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는 17세기부터 등장한 한국의 전통 음악이자 고전 문학, 연극으로, '소리꾼' 한 명이 북을 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노래), 아니리(말), 너름새/발림(몸짓)을 섞어 이야기를 풀어낸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의 유래와 역사가 궁금하군요.

    초기 학설에 따르면,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광대들이 소학지희를 하며 각자의 재주를 겨루던 중에, 어떤 연희자가 이미 존재하고 있던 남도 지역 무가의 음악과 양식을 사용하여, 예로부터 전승되어온 설화를 긴 노래로 엮어 부른 데서 판소리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판소리는 순조(재위 1800~1834) 무렵부터 판소리 8명창이라 하여 권삼득, 송흥록, 모흥갑, 염계달, 고수관, 신만엽 등이 유명하였는데 이들에 의해 장단과 곡조가 오늘날과 같이 발전하였고, 동편제(전라도 동북지역), 서편제(전라도 서남지역), 중고제(경기도․충청도) 등 지역에 따라 나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의 유래는 조선 후기 17~18세기 영조나 숙종 재위 기간이나 그 전부터 이어지면서 광대 집단과도 연관되며 무당이 굿판에서 하는 노래에서 따와 유래가 되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초기 학설에 따르면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광대들이 소학지희를 하며 각자의 재주를 겨루던 중에 어떤 연희자가 이미 존재하고 있던 남도 지역 무가의 음악과 양식을 사용하여 예로부터 전승되어온 설화를 긴 노래로 엮어 부른데서 판소리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판소리는 청중이 모여 있는 판에서 부채를 든 한 명의 소리꾼(광대)이 북 반주를 수행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추어 노래(창) 말(아니리) 몸짓(발림)을 섞어가며 서사적인 이야기를 엮어내는 공연예술입니다.


  •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는 ‘판놀음 속에서 부르는 소리’라는 말로 18세기부터 전해져 온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입니다. 여기서 판놀음은 줄타기 등의 놀음과 산대도감극을 함께 포함하고 있습니다.

    순조 시대에 이루어지던 판놀음은 시조와 판소리가 들어간 형태로 공연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판놀음이라는 말에서 판소리가 따로 독립되면서 고유한 음악 장르로 정착하고 문자로 정착된 판소리는 판소리사설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판소리는 1964년에 우리나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03년에는 무형유산 걸작 및 유네스코 인류 구전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