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김기현
김기현23.10.01

군생활 도저히 못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일병 6호봉 현역인데 군생활이 도저히 견디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현부심을 신청하고 싶은데 용기가 나지 않습니다. 저는 지난 7월 말 계속되는 안 좋은 소리와 업무 스트레스로 결국엔 우울감이 폭발해 자해를 했습니다. 저는 전차병을 지원해서 왔지만 계속 엉뚱한 보직으로 편제가 바뀌어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였습니다. 그렇게 전차병이 됬지만 그럼에도 나아지질 않는 겁니다. 불안도가 높아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데 절망적이게도 ADHD가 나왔습니다. 고쳐지지 않는 제 모습에 결국 중대장님도 인내심의 한계를 느끼고 저를 크게 질책하셨는데 이젠 저도 한계입니다... 계속 욕먹고 사고치고를 반복하니 더 이상 자신이 없습니다. 저 진짜 이젠 못버티겠습니다. 현부심 신청은 어떻게 하는 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뉴아트입니다.

    현부심(현역 복무 부적격 심사)의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육체 및 정신의 건강 문제로 현부심 신청 - 부대 내 간부에게 보고하시면 됩니다

    2. 육체 및 정신 건강 관련 군의관의 소견서 및 병영 생활 상담 보고서, 부모님 동의서, 지휘관 확인서, 학교 생기부, 군동기 진술서

    부대 내 관찰기록 등의 서류 취합하여 제출

    여기서 참고할 부분은 정신적인 문제로 현부심을 신청 시 그린캠프를 가기도 합니다

    그린캠프는 군대 내 관심병사 또는 현부심 신청자들을 모아 관리하는 곳입니다

    3. 위 제출한 서류로 부대에서 심사(여단, 사단, 군단 등)

    4. 위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병역 관리 심사대(병심대)에서 대기

    5. 원대 복귀, 면제, 사회 복무 요원 셋 중 하나로 심사 결과 확정

    6. 결과에 따라 다르니 간부 설명 듣고 행동하면 끝

    일단 현부심은 신청부터 심사완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신체적인 부분은 그냥 겉으로도 표시가 나기 때문에 금방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만 정신적인 부분은 겉으론 티가 나지 않기 때문에

    군의관 소견서 하나만 하더라도 최소 1달이 넘게 걸리기도 합니다

    이유는 상태를 인지하고 상담, 심리 치료와 약물 치료 진행, 치료의 경과 보기가 되어야 하는데 이 기간이 1달 정도입니다

    따라서 현부심은 신청부터 심사까지 짧으면 3개월~4개월, 길면 6개월 이상이 걸리기도 합니다

    따라서 기간이 길다는 점 명심하시고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서류를 심사에 제출한 경우 취소가 불가능하니 참고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푸르르름입니다.


    일단 소속 행정보급관 소대장 중대장과 상담하시고


    솔직하게 상황을 설명하는 편이 가장 빠른 방법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