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23.05.21

꺼내놓은 '비누'가 시간이 지나면 상태가 이상해집니다.

'비누'를 상온 화장실에 꺼내 놓으면, 어느 순간 갈라지기 시작하여 보기 안좋게 됩니다.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날아가서 그런 것인가요?

그렇다고 하기에는 사용을 하거나 물을 위에 뿌려주고 그러면 다시 원상태로 되는 경우를 본 적이 없어서 질문드려봅니다.

어떠한 성분이 사라지거나 부족해서 그러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가 상온 환경에서 갈라지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은 수분이 증발하거나, 수분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비누의 성분이 변화하여 일어납니다.

    비누는 대체로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상온에서는 수분이 증발하면서 비누의 무게가 감소합니다. 이 과정에서 비누의 성분 농도가 높아지고, 성분 간의 상호작용이 변화하여 비누가 균열이나 갈라지는 것입니다.

    또한, 상온에서 비누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산화되는 과정도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비누의 성분이 일부 제거되고, 성분 간의 상호작용이 변화하여 비누가 균열이나 갈라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의 경우 너무 건조한 곳에서 보관하게 되면 갈라질수 있습니다 . 이는 비누에 달라붙은 수분이 비누를 녹이기 전에 증발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수분이 너무 많은 곳에선 물러지거나 녹을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 내 존재하던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비누 자체에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공기와 접촉하게되면서 산화되어 균열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첫째, 비누화 반응 과정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게되는 가성소다가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며 증할하여 갈라지는 것입니다. 둘째, 정제수를 너무 많이 넣거나 레시피에 수분함량이 높을 경우, 건조 및 숙성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모두 빠져나가 갈라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는 대부분의 경우 수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비누의 표면이 건조해지고, 수분이 증발하여 비누가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비누의 텍스처가 바스락거리며 사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비누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은 가성소다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증발하면서 갈라지거나 정제수를 너무 많이 넣어 수분이 많아 수분이 증발하면서 갈라 질수 있습니다


    1. 수분 증발: 비누는 주로 수분과 함께 제조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비누 표면에 있는 수분은 주변 공기와 접촉하여 증발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비누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비누 자체가 마르게 됩니다.

    2. 공기와의 산화 반응: 비누에는 지방과 기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방과 기름은 공기와의 산소 반응에 노출되면서 산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산화는 지방과 기름을 분해시키고 변질시키는 과정으로, 이로 인해 비누의 구조와 성분이 변화하고 마르는 것처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습기로인해 비누일부분이 녹고나서 수분이 날아가면 그대로 크랙이 생기거나 주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비누 케이스등을 활용해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가 상온 화장실에 방치되면 습기와 온도 변화로 인해 갈라질 수 있는데 비누는 염기성 물질로 습기에 노출되면 녹을 수 있어 갈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누가 상온 환경에 놓여있을 때 갈라지거나 변형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이는 비누의 성분과 특성에 기인한 것이며, 주로 수분이 증발하거나 일부 성분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비누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온 환경에서는 주변 공기의 건조와 열에 의해 수분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수분의 감소로 인해 비누가 갈라지거나 변형되는 것이 보기 안 좋게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비누는 주로 지방과 알칼리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방이나 기타 성분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누의 표면이 변형되거나 색상이 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식물성 동물성 지방산과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성 용액을 반응 시켜서 비누화 반응으로 비누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런 비누를 사용하면 비누화 과정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은 수산화나트륨이 공기중에 수분을 흡수하면서 증발하게 되는 조해성 성질이 강해서 비누가 갈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2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조해성이 일어나 비누가 녹으면서 표면에 붙게 됩니다. 조해성은 공기중 수분을 빨아들이는 현상입니다.

    그 다음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해서 녹았던 비눗물이 대기중에 증발되게 됩니다.

    습기가 적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놔둔 비누는 증발이 조해보다 더 잘 이루어지게 되어 마르게 되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갈라지느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