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전문의 선생님들 답변해주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올해 34살 대한민국 여성이에요. 제가 건강이 너무 걱정되고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려요.
1. 피가 다시 생기나요?
2. 제가 15세부터 생리를 시작했는데요.(몸에서 피가 흘러나오기 시작했어요.) 현재는 34세에요. 몸이 많이 야윈 것 같아서요.(몸이 많이 야위었어요.) 너무 두려워요. 생리의 영향인 거 맞죠?
3. 대한민국 포함해서 전 세계 여성이라면 한 명도 빠짐없이 생리를 겪나요?
4. 19년 동안(그 동안) 몸에서 흘러나간 제 피가 너무 아까운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요? 수혈이라도 받아야 하나요?(수혈받아야 하나요?)
5. 덩어리도 나오는데 이건 뭔가요? 괜찮은건가요?(저는 몸의 장기가 빠져나오는 거라 생각했어요.)
6. 그리고 어지럼증과 배가 아픈데 어떤 음식을 먹는게 좋나요?
7. 생리 중에 겪하게 움직여도 되나요?
8. 생리를 그만하는 시술이나 수술 알려주세요. 건강과 관련해서요.
9. 생리는 대체 몇 세쯤 그만두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1. 피가 다시 생기나요?
피는 골수에서 지속적으로 만들어집니다.
2. 제가 15세부터 생리를 시작했는데요.(몸에서 피가 흘러나오기 시작했어요.) 현재는 34세에요. 몸이 많이 야윈 것 같아서요.(몸이 많이 야위었어요.) 너무 두려워요. 생리의 영향인 거 맞죠?
몸이 야윈것은 생리의 영향보다는 식이섭취가 적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갑상선 질환등도 감별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3. 대한민국 포함해서 전 세계 여성이라면 한 명도 빠짐없이 생리를 겪나요?
여성이라면 모두 생리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간혹 염색체 이상으로 겉보기엔 여성이지만 여성 생식기가 없는 경우 무월경일 수도 있습니다.
4. 19년 동안(그 동안) 몸에서 흘러나간 제 피가 너무 아까운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요? 수혈이라도 받아야 하나요?(수혈받아야 하나요?)
앞서 말씀드렸듯이 실혈된 피는 다시 골수에서 만들어지나 실혈이 많을 경우 철결핍성 빈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5. 덩어리도 나오는데 이건 뭔가요? 괜찮은건가요?(저는 몸의 장기가 빠져나오는 거라 생각했어요.)
피가 시간이 지나면 응고작용을 일으켜 덩어리로 배출 될 수 있습니다.
6. 그리고 어지럼증과 배가 아픈데 어떤 음식을 먹는게 좋나요?
철분이 풍부한 시금치나 육류등을 충분히 섭취하시고 소화가 잘 되는 것 위주로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7. 생리 중에 겪하게 움직여도 되나요?
생리중에 움직임을 제한하지는 않으나 컨디션에 따라 조절을 하는 것이 건강에 좋겠습니다.
8. 생리를 그만하는 시술이나 수술 알려주세요. 건강과 관련해서요.
피임약을 복용하거나 미레나 시술을 받을 경우 생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9. 생리는 대체 몇 세쯤 그만두나요?
폐경은 개인마다 상이하나 대략 50세 전후로 많이 폐경이 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질병이 없는 여성이라면 생리를 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문제가 없는 현상이며 이때 소실된 혈액은 인체에서 재생산이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생리는 모든 여성이 경험합니다. 없으면 문제가 있는 것이지요. 다행히 생리로 출혈이 생겨도 피는 재생됩니다. 만약 생리양이 많다면 빈혈이 생겨서 어지럽고 기운이 없을 수도 있지요. 그렇다고 수혈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생리가 심한 경우에는 피임약을 드시면 됩니다. 생리는 임신중에 잠시 멈췄다가 자궁 적출 수술을 받거나 50세쯤 폐경이 되면 끝날겁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산부인과 선생님이 보다 정확한 답변을 해주실겁니다. 물어보신게 사실 기본적인 의학적 사항이라 답변을 적어보겠습니다.
1. 피는 매일마다 만들어집니다. 피를 이루는 혈장과 세포들을 보면 혈장은 수분과 여러가지 전해질로 이루어져있고 세포들은 골수에서 만드어집니다. 출혈이 있거나 생리를 하거나 헌혈을 하더라도 피는 계속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전혀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2. 몸이 야위어서 안타깝지만 이게 생리에 의한 영향은 아닙니다. 생리가 영향을 줬다면 여성분들이 생리 시작을 기점으로 모두 점점 야위어가야하는데 주변을 보면 전혀 그렇지 않은걸 볼 수 있습니다. 식사를 잘 챙겨먹지 못하셔서 그럴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3. 시상하부 - 뇌하수체 - 난소 이루어진 여성호르몬 분비에 문제가 없는 여성은 모두 생리를 합니다. 물론 자궁 또한 문제가 없다는 전제하에서요. 이런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생리를 안할 수 있습니다.
4. 우리 몸에서 계속해서 피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빠져나간 피는 이미 모두 보충이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수혈이 필요한지 여부는 빈혈이 생겼는지 여부로 알 수 있는데 여성에서 빈혈의 기준은 혈색소 12g/dL 이하일때이고 수혈은 보통 6g/dL 이하로 떨어지면 시행합니다. 건강한 여성분들은 생리때문에 수혈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5. 생리는 자궁에서 질을 타고 나옵니다. 우리 몸의 장기가 나올 수 없습니다. 자궁내막이 탈락하면서 생리혈이 응고된 덩어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6. 출혈에 의해 일시적으로 어지러울 수 있습니다. 물을 많이 챙겨먹어주시고 어지러우면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게 좋습니다. 배가 아플때는 타이레놀이나 진통소염제를 복용해주세요.
7. 생리중에는 격한 움직임은 자제해주시는게 좋습니다.
8. 생리가 많이 불편하시겠지만 임신을 위해 자궁이 존재하고 이 자궁의 기능을 유지하려면 어쩔 수 없이 겪어야 하는 일입니다.
생리를 멈추려면 시상하부 - 뇌하수체 -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끊어버리는것인데 이러면 폐경이 되는겁니다. 수술은 자궁을 절제하면 생리가 안나오기는 하겠습니다. 하지만 이건 이론적인 이야기고 실제적으로 생리가 불편해서 이런 처치를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9. 생리는 폐경이 되면서 끝이 나는데 보통 50-60대 정도에 끝이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