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10.27

극지방에서 일어나는 기후 변화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최근 몇십 년 동안의 기후 변화로 인해 남극과 북극 지역의 기온, 강설량, 해빙 등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설명 해주세요.

이러한 기후 변화가 지구 전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과 북극 지역의 기후 변화는 매우 두드러지며, 이는 지구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 남극의 바다 얼음 면적은 역대 최소로, 종전 최소치보다 100만km^2나 적어 전례 없는 수준으로 녹아내려 햇빛을 반사하는 해빙이 줄면 바다는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결국 얼음이 더 녹아내리는 악순환이 반복되었습니다.

    북극 역시 비슷한데 기후 기록 상 손에 꼽힐 만큼 해빙 면적이 적었으며 지난 7월에는 '폴리냐' 현상이 관측되기도 했습니다.

    최근 가장 이슈가 되는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은 각종 기상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데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은 얼음 빙하의 녹음을 가속화시켜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고 이는 해안지역의 침수 등을 발생시킵니다. 또한 폭염, 폭우, 가뭄, 태풍 등의 극한 기상 현상이 빈번해지고 강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후 변화는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생태계의 이동, 종의 멸종 및 서식지 파괴로 생태계 다양성에 위협이 생기고 있으며 온도와 강수 패턴의 변화는 식품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 몇십 년 동안의 기후 변화로 인해 남극과 북극 지역의 기온, 강설량, 해빙 등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남극과 북극 지역의 기온은 전 세계 평균 기온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남극의 경우, 1957년부터 2022년까지의 평균 기온은 2.5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극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평균 기온은 1.5도 상승했습니다. 또한 남극과 북극 지역의 강설량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남극의 경우, 1961년부터 2021년까지의 평균 강설량은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극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평균 강설량은 10% 감소했습니다. 그리고 남극과 북극 지역의 해빙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남극의 경우, 200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평균 해빙 면적은 100만 제곱킬로미터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극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해빙 면적은 200만 제곱킬로미터 이상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기후 변화는 지구 전체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

    남극과 북극의 해빙이 진행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 지역의 침수, 홍수, 가뭄, 기후 난민 발생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기상 패턴 변화

    남극과 북극의 기후 변화는 전 세계 기상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기상 패턴 변화는 더 극단적인 기상 현상의 발생, 농업 생산 감소, 생태계 변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 변화

    남극과 북극의 기후 변화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남극의 경우, 해빙으로 인해 바다표범, 물개, 펭귄 등의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해빙으로 인해 북극곰, 바다코끼리 등의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는 남극과 북극 지역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기후 변화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극지방의 기후 변화가 심각해 지고 있습니다. 그것에 대한 관련 보고서입니다.

    1. 극지 기온 변화가 현저하다.

    최근 40년 동안 북극 기온 상승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1979~2022년 기간 북극 전체 기온은 10년마다 0.63°C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북극 전체 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1.1°C 높았다. 남극 기온은 기후변화 평균에 비해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남극 지역의 기후변화를 간과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며, 실제로 남극반도(Antarctic Peninsula)는 여전히 세계 평균을 훨씬 웃도는 속도로 따뜻해지고 있습니다.

    2. 해빙 총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남극 해빙은 1970년대 말부터 장기간 완만한 증가를 겪은 후 2014년부터 급속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기상 위성 자료에 따르면, 2022년 2월과 9월 남극 해빙 범위의 월평균치는 평년보다 23.84%와 2.96%작으며, 그 중 여름 해빙 범위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북극 여름 해빙 총량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22년 북극 해빙은 전반적으로 작았지만 역사상 가장 작았던 2007년에 비해 범위가 약간 큰 편입니다.

    3. 온실가스 농도 지속적 상승

    1984~2021년 기간 남북극 지역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는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세계 변화 추세와 거의 일치했습니다. 이 중 2021년 남극 대기의 주요 온실가스 연평균농도는 이산화탄소 412.01ppm, 메탄 1,839.78ppb, 아산화질소 333.27ppb, 육불화황 10.40ppt입니다. 북극 대기의 이산화탄소는 417.78ppm, 메탄은 1,988.36ppb이며, 아산화질소는 334.75ppb, 육불화황은 10.86ppt로 2020년 평균 농도에 비해 현저히 상승했습니다.

    4. 남북극간 오존 총량 차이 발생

    2022년 남극 오존홀 면적이 1979년 이래 12위를 차지했으며, 전년에 비해 조금 작아졌고 전반적으로 축소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북극 지역 경우는 2022년 12월 말~2023년 3월 오존 총량이 역사적 평균 수준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온난화로 기후상승 이로인해 빙하가 녹고있죠. 이는 해수면의 상승과 생태계가 변화 즉 파괴되고 있습니다.

    심각한 현상이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