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크리스토
크리스토
24.03.12

자재 특성에 따라 전압 신호가 변화 할수 있나요?

자재 평가중인데 순수 cu 영역에 100도 이상의 열을 가하니 오실리스코프 신호가 열을 가한 부분만 뚝 떨어지는데


cu위에 Tin 도금을 입힌 부분은 이런 신호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데

혹시 자재에 따른 전압 신호에 변화가 있을수 있나요?


있다면 무슨 메카니즘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24.03.12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순수 구리 영역에 100도 이상의

    열을 가하면 오실리

    스코프 신호가 열을 가한 부분에서 급격히 감소합니다.

    주석 도금된 구리 영역에서는

    동일한 열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신호 변화가 감지되지 않습니다.

    순수 구리와 주석은 서로 다른 열전 효과 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열전 효과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순수 구리 영역에서 열을 가하면 온도 변화가 전압 변화로

    나타나 신호 감소를 유발합니다.

    주석 도금된 구리 영역에서는 열전 효과가

    상쇄되어 신호변화가 감소합니다.

    순수 구리 표면은 열에 의해

    산화되어 전기 전도도가 감소합니다.

    산화된 표면은 전기 저항을 증가시켜

    신호 감소를 유발합니다.

    주석 도금은 구리 표면을 산화로부터 보호하여

    전기 전도도를 유지합니다.

    순수 구리는 높은 전도도를 가진 주석은

    비교적 낮은 전도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높은 전도도는 전기 신호 감쇠를 낮추는

    낮은 전도도는 신호 감쇠를 증가시킵니다.

    주석 도금은 구리 표면의 전도도를 낮추어

    신호 감쇠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순수 구리와 주석 도금 구리의 오실리스코프

    신호 변화 차이는 열전 효과 표면 산화

    전기적 특성 차이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분석과 실험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