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미국채 10년물이 많이 내려가면 증시에 안좋나요?
작년부터 미국채10년물이 4.5%를 넘어가면서도 증시가 엄청 안좋았었잖아요. 그런데 왜 3.초반으로 떨어져도 증시가 조정받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채 금리 하락은 주식시장 주가 상승 요인이 되는데,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증시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이유는 금리 상승과 하락이
투자자들의 자산 배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이라고 생각 합니다.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채권의 금리가 매우 매력적으로 느껴져, 투자자들이 주식보다 채권에 더 많은
자금을 투자하려는 심리가 작용 합니다.
이에 따라서 주식 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게 되며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또한 대출금리가 상승하면서 기업들은 자금 조달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소비자들의
소비가 줄어들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금리의 하락은 위에 설명드린 내용과 반대의 상황으로 생각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락하면 보통 시장에 유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위험자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만약에 이런채권 금리 하락이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해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경기 상황이 불확실성이 증가하면 투자자들은 채권을 매수하게 되고 이는 반대로 채권금리를 낮추게 되죠.
이에 단순하게 채권 금리 등하락의 여부와 함께 전반적인 경제, 시장 심리 상황을 종합적으로 봐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채 시장 10년물금리는 미국에서 실물경기에 가장 많이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부동산 모기지 대출이나 상업용부동산 대출 기업차입금리등이 10년물 기준에서 시작이 됩니다
그런데 최근 10년물이 하락하는것과 미국증시와 동조되는 흐름을 보이는것은 경기침체우려를 보이고 있는것이며 경기침체로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컨센서스가 강해지면서 10년물 시장금리가 빠르게 내려오며 이를 경기침체우려로 해석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채 금리로만 증시가 움직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현재 금리가 내려가면서 오히려 그 돈이 증시로 흘러들어와야 이익이 되는 것이지만 현재는
트럼프가 침체도 감수하겠다는 발언을 하면서 하락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증시가 조정을 받는 이유가 금리와 다르게 트럼프의 입으로 비롯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 채권 금리가 3%초반으로 떨어진다는 것은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투자자로 하여금 투자심리 위축되게 합니다. 이는 증시에 좋지 못한 영향을 보이기 때문에 떨어지거나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