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국내의 상속세는 언제 등장하였고 정확히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 도입이 최초로 된건가요?
지금 상속세로 인하여 정부나 기업들 그리고 언론등 모두에게서 논란거리입니다. 그런데 이 상속세라는 제도는 조선시대말기까지 없었던 제도라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국내의 상속세라는 개념은 언제등장하게 된것인지 궁금하며 최초 정확히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 국내에서 도입이 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권영일 세무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상속세는 일제 식민지 시대인 1934년 전비조달을 목적으로 제정 운영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한국전쟁 이전인 1950년 3월 상속세법을, 또한 4월에는 증여세법을 제정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기본적으로 세금은 소득이나 재산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피상속인이 사망하였기 때문에 피상속인의 재산을 상속받은 자에게 상속세를 부과합니다.
상속세는 1950년에 최초 부과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