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13세기 원나라에 고려의 문화가 왜 유행하게 된건가요?

13세기 중국이 원나라 시절 고려의 문화가 유행했다고 하는데요.

대제국을 이룬 원나라에 고려양이 유행하게 된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는 여러 해 동안 원나라의 침략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충렬왕부터 공민왕까지는 결혼 정책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였습니다. 이때 원나라와 고려 간에는 문물의 교류가 많았으며, 고려에서도 처녀가 궁녀로 혹은 몽고 귀족의 배필로 뽑혀 간 것이 적지 않았고 이 때 원나라 황실과 귀족, 군인 등의 요구로 인해 결혼도감, 과부처녀추고별감 등이 설치되어 처녀와 과부를 원나라로 다수 보냈습니다.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사례가 원 혜종의 황후가 된 기황후이며 이들로 인해 고려의 생활 양식이 원나라의 상류사회에 전파된 것이 많았는데, 이것이 고려양입니다.그 외에도 원나라에 머무르던 고려의 세자궁, 원나라에서 벼슬을 지내던 고려인, 고려에서 원나라로 보낸 공물 등으로 인해 고려의 생활 양식이 원나라 상류층에 퍼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화접변 현상은 큰 문화와 작은 문화가 충돌하게 되면 큰 문화가 작은 문화를 흡수 통합해버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몽골의 원나라 강력한 동서제국을 건설한 나라였기에 몽고의 문화들이 고려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이를 몽고풍이라고 했습니다. 반면에 고려는 국력은 원에 비할 바가 안되었지만 문화적인 면에서는 매우 우수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려의 문화가 원나라에 유행하였습니다. 이를 고려양이라고 불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나라 사람과 고려 사람의 혼인으로 양국의 풍속이 섞이기 시작한 것에도 원인이 있습니다. 유밀과가 원나라 조정 잔치에 등장하기도 하고, ‘수라’와 같은 몽고 용어가 고려에서

    쓰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양국 간에는 학문 교류도 빈번했습니다.

    원나라에 갔던 관리들을 통해 성리학이

    도입되었고 신진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성리학을 활발히 연구하였기에 자연스럽게

    문화의 교류가 있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