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진기한올빼미129
진기한올빼미129

신라 백제 대비 국내의 발굴 유적이 적은 고구려 유물의 디지털화는 어떤 의미 인가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올해 상설전시관 로비인 ‘역사의 길’에 발광다이오드(LED) 미디어타워, 일명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가 공개되었습니다. 고대 삼국 가운데 영토 대부분이 한국(남한) 바깥에 있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졌던 고구려(기원전 37년~서기 668년) 유물에 대한 관심도 커지는 분위기 입니다. 과연 디지털 고구려 유물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남북한이 분단되고 북한내 문화재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없습니다. 특히 고구려, 발해의 역사 유물은 대부분 북한, 중국에 소재하여 더욱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런 유물은 IT 가상으로나마 접할 수 있다면 삼국 시대 역사를 동시에 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유물의 디지털화는 장소적인 구애를 벗어나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해당 유물을 접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훼손, 풍화되어 가는 유물을 반영구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