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23.05.13

대기권의 구분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지요?

대기권은 지표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그리고 열권으로 구분이 되고 대기권의 두께는 약 1,000m 정도라고 라고 하는데 이렇게 구분을 하는 기준은 무엇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은 대략적으로 고도에 따라 구분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권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5개로 구분됩니다.

    1. 대기권 상층: 대기권 상층은 지표면에서 80km 이상 높이에 위치하며, 대기권의 가장 바깥쪽 영역입니다.

    2. 중간권: 중간권은 대기권 상층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지표면에서 50km ~ 80km 높이에 있습니다.

    3. 성층권: 성층권은 지표면에서 18km ~ 50km 높이에 위치하며, 오존층과 같은 중요한 대기층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4. 대기권 하층: 대기권 하층은 지표면에서 8km ~ 18km 높이에 위치하며, 대기 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대기층입니다.

    5. 대기권 최하층: 대기권 최하층은 지표면에서 바로 위에 위치하며, 대기권 중 가장 밀도가 높은 영역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권의 구분 지구 대기권의 층은 조성(組成)뿐만 아니라 온도나 그 밖의 물리적인 성질이 높이에 따라서 다르며, 다시 몇 개의 층으로 분류된다. 지구 대기권은 특성에 따라 지표면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의 다섯 층으로 나눌 수 있다

    출처 : 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국제항공연맹에서는 고도 100km 이상을 우주공간으로 정하고 있으며

    고도 100km기준으로 경계를 정하는선을 카르만 라인 이라고 합니다. 외기권 ~ 10000km,열권 ~690km,중간권 85km , 성층권 ~50km,대류권 ~11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은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모두를 포함하고, 두께는 약 1000 km로 계산이 됩니다.

    대류권은 약 10 km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기상현상이 주로 일어나는 가장 아래층 공간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의 구분

    -높이에 따른 온도 분포에 따라 대기권은 4가지 층으로 구별되어 있습니다

    1.대류권 : 대류권은 지표면에 접해 있는 층으로서 우리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기권에 있는 전체 공기의 약 90%가 대류권에 있으며, 이 층에서 구름, 비 등과 같은 기상현상이 일어난다.

    2.성층권 : 대류권 위에서 높이 약 50km까지는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데 이 층을 대류권이라고 합니다

    3.중간권 : 성층권 위에는 대류권과 같이 올라갈수록 온도가 감소하는 중간권이 있습니다. 중간권의 상층은 대기권 전체에서 온도가 가장 낮습니다.

    4.열권 : 중간권 위에는 올라갈수록 온도가 다시 높아지는 열권이 있다. 이 층은 대기가 매우 희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의 구조 학습목표 대기권을 기온의 연직 분포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