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23.08.30

홍범도 장군의 주된 업적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요즘 홍범도 장군으로 이념논쟁이시끄럽네요

안타깝습니다


홍범도 장군님의 주 업적이 궁금합니다.

이분의 일대기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5년 을미 의병 발생 직후 강원도 철령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며 1907년 고종 퇴위와 군대 해산을 전후한 (정미칠적 참조)에 따른 정미 의병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함경도 갑산 일대의 포수들을 모아 다시 궐기를 시작했고 홍범도 장군은 최대 600명 ~ 700명으로 생각되는 의병대를 이끌고 주로 함경도와 강원도 북부를 무대로 하는 유격전을 벌였습니다.1920년 6월에 봉오동 전투, 1920년 10월 청산리전투에서 승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68년 8월 27일 평안북도 자성에서 출생,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갑산으로 이사 후 수렵과 광산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했습니다.

    1907년 전국적인 의병봉기에 자극을 받던 중 9월 일제가 총포 및 화약류 단속법을 공포하고 포수들의 총을 회수하려하자 11월 차도선, 태양욱, 송상봉, 허근과 함께 산포대를 조직 해 삼수, 갑산 지방 포수들의 총포를 회수하러 온 일본군을 대적해 북청, 후치령을 중심으로 갑산, 삼수, 혜산, 풍산 등지에서 유격전을 벌여 격파 , 이 싸움에서 그는 9시간의 전투 끝에 적을 전멸시키는데 한때 갑산을 완전히 장악합니다.

    1910년 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제 점령되자 소수의 부하를 이끌고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 양성에 전력, 다음해 부하 박영신으로 하여금 함북 경원의 수비대를 급격하게 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대한독립군의 총사령이 되어 약 400명의 독립군으로 1개 부대를 편성, 국내에 잠입, 갑산, 혜산, 자성 등의 일본군을 급습해 전과를 거두었는데 특히 만포진 전투에서 70여 명을 사살했습니다.

    1920년 6월 반격에 나선 일본군이 제 19사단의 병력과 남양 수비대로 부대를 편성하여 독립군 본거지인 봉오동을 공격해오자 700여명의 독립군을 지휘해 3일간의 치열한 전투를 벌여 일본군 157명을 사살, 이 봉오동 전투는 그때까지 독립군이 올린 전과 중 최대의 승전으로 기록됩니다. 같은 해 10월 청산리 전투에 김좌진이 이끄는 북로군정서와 함께 제 1연대장으로 참가해 공을 세웠고 그 뒤 독립운동단체가 흑룡강의 국경지대에 집결하자 항일단체들의 통합을 주선해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고 부총재가 되며 대한독립군단은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로 이동해 스랍스케 부근에 주둔, 같은 해 6월 소련 당국의 한국독립군에 대한 무장해체령으로 빚어진 자유시사변을 통해 많은 독립군이 희생, 이후 홍범도는 남은 독립군 부대와 함께 이르쿠츠크로 이동했고 레닌 정부의 협조로 설립된 고려혁명군관학교에서 혁명군 양성에 참여, 1922년 다시 연해주 이만으로 돌아왔으며 1923~24년 무렵부터 그곳에서 집단 농장을 차려 농사를 지으며 한인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습니다.

    1937년 스탈린이 한인강제이주정책을 시행하며 연해주의 한인들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홍범도는 카자흐스탄의 야니쿠르간 사나리크로 이주했다가 이듬해 크질오르다에 정착, 1941년 제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러시아 정부에 참전을 요청하나 고령이라는 이유로 거부당했으며 카자흐스탄의 한글신문 레닌기치에 젊은이들의 참전을 촉구하는 기고문을 실었습니다.

    말년에 한인 극장인 고려극장에서 수위로 근무하며 조용한 여생을 보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7 정미의병 참가 (삼수 갑산) , 차도선 등과 함께 의병 조직

    1910 13도 의군 도총소의원을 지냄

    1919 대한독립군 조직

    1920.06 - 삼둔자 전투 승리

    1920.06 - 봉오동 전투 승리

    1920 - 대한독립군단 부총재

    1921 - 흑하사변 / 소련 적색군에 편입 / 고려혁명군관학교 설립

    1937 - 스탈린의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1943 - 세상을 떠남

    요약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