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

송전방식으로 직류를 적용한 곳은 어디인지요?

전기 송전방식으로 교류로 송전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 직류송전를 적용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나 해외 사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직류 송전 방식은 장거리 대용량 송전에 유리하여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완도 간 해저 케이블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해외 사례로는 중국의 서부 대규모 수력발전에서 동부로 전력을 송전하는 프로젝트가 있고, 유럽에서는 노르웨이와 네덜란드를 잇는 '노르넥스'와 같은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러한 직류 송전 시스템은 송전 손실이 적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직류 송전은 전압 변화가 적고 장거리 전송 시 손실이 적다는 장점 덕분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와 진도 간 해저 케이블이 대표적인 직류 송전 사례입니다. 해외로는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간의 해저 케이블과 중국의 초고압 직류 송전 프로젝트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지역 간의 전력망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한국 전력에서 아직은 교류 송전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해요~

    직류로 보내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요~

    국내에서 제주도까지 직류로 300MW 를 공급하는 송전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기는 해요~

    무려 450Km 나 가설했다고 하니까 어마어마한 전력량 전송 구간이지요~

    울릉도하고 국내 땅하고 연결도 직류로 송전한다고 하네요~

    무려 150MW나 송전을 하고 있구요~

    거리도 82Km로 짧지가 않아요~

    직류로 송전하면 무엇보다도 장거리 송전에 따라서 손실되는

    전력량이 줄어들어요~

    주파수에 따라서 송전량이 변동되는일도 없구요~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우리 나라의 경우 진도-제주 해남-제주가 초고압 직류송전이 이루어 지고 있으면 해외에서는 스웨덴-덴마크, 캐나다-미국, 브라질-아르헨티나 등의 주요 초고압 직류송전 시스템이 있습니다.

  • 우리나라 한전에서 일부 시험적으로 DC송전을 테스트 하고 있습니다.

    주요 DC 송전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인천 DC 송전소

    • 위치: 인천 서구

    • 규모: 300MW 용량

    • 연계선로: 대화력발전소 - 서인천 DC 송전소 (±180kV HVDC)

    1. 신가평 DC 송전소

    • 위치: 경기도 가평군

    • 규모: 300MW 용량

    • 연계선로: 신가평 변전소 - 신가평 DC 송전소 (±180kV HVDC)

    1. 동해 DC 송전소

    • 위치: 강원도 동해시

    • 규모: 400MW 용량

    • 연계선로: 신가평 DC 송전소 - 동해 DC 송전소 (±180kV HVDC)

    이들 DC 송전소는 수도권과 강원지역 간 전력 공급을 원활히 하고,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DC 송전은 장거리 송전 시 교류보다 전력 손실이 작아 효율적입니다.

  • 직류송전방식은 장거리 대용량 송전시 유리한데요.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까지 송전을 해남에서 수중으로 전송하는데 이때 직류로 송전하죠.

    현재 UAE에서 삼성물산에서 HVDC공사로 육지에서 마찬가지 섬으로 DC송전선로를 수중으로 시공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