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한결같은제비283
한결같은제비28322.01.23

뒷목이 자주 뻐근하다면 피로누적과 관련?

나이
3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가끔씩 밤에 공부를 하다보면 뒷목이 너무 뻐근해서 주무르곤 했습니다. 잠을 많이 못잘때면 이런적이 많은데 이는 피곤한 상태의 몸이 유지되었을때 뒷목이 뭉치고 뻐근해지나요? 아니면 뒷목쪽에 혈액순환이 잘되어 있지 않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평소 자세가 많이 좋지 않으신 듯 합니다. 목과 어깨 죽지의 통증은 근육이 뭉쳐서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하고 평소 자세가 좋지 않은 경우, 즉 오랫 동안 고개를 숙이고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경우에 흔히 유발이 되지요. 단순히 혈액순환이 안되는 것은 아니랍니다.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는 일시적인 증상 완화에 도움은 되지만 결국 자세를 잘 교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평소 책을 볼 때는 정면을 바라보게 조절하시고, 턱을 목으로 쭉 당겨주시고 목을 똑바로 세우려고 노력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깨는 쭉 펴시구요. 공부하는 중간에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혼자서 관리가 어렵다면 가까운 재활의학과나 신경외과에 가셔서 전문적인 관리를 받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25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목 근육의 불편감이나 자세에서 오는 근육긴장도 흔히 간과하는 두통의 원인이니 증상이 언제 시작되는지 스스로 점검해보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한 활동과 스트레칭이 필요합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뒷목이 뻐근한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증상이 병적인 상태로 보이지는 않고 불편한 자세가 지속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에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을 희망하신다면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뒷목 통증에 대한 원인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주로 잘못된 자세와 습관, 스트레스 등으로 목과 어깨 근육이 뭉치고 뻣뻣해지면서 통증이 발생하지만, 이를 개선해봐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퍼지고 벌어져 있는 뼈와 관절'이 근본적 원인일 확률이 높다.


  • 안녕하세요. 정강환 의사입니다. 뒷목이 뻐근하다고

    느끼는 거는 뒷쪽 목에 있는 근육, 승모근이나 견갑거근의 근내압이 상승해서 그런 느낌을 유발할수 있습니다.

    또는 일자목이나 거북목이 원인이 될수도 있구요. 가까운 통증의학과 또는 정형외과 방문하여 경추 엑스레이

    촬영해보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하시는 바와 같이 뒷 목에는 머리로 이어지는 중요한 혈관이 자리 잡고 있어 장기간 앉아 있는 경우

    뒷 목 근육의 긴장 상태가 지속되어 안쪽 동맥 혈관을 누르게 되고 혈류가 부족해지면서 긴장성 두통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고혈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긴장성 두통의 증상을 좀 더 자주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실제로 간단한

    마사지를 통해서도 근육의 긴장이 줄고 혈관이 확장되어 두뇌로 가는 혈류가 증가하고 피로감이 주는

    것을 느낄 수 있으나 강하게 압박하는 경우 오히려 뇌로 가는 혈류를 줄여 일시적으로 어지럼증과

    의식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휴식이 더 중요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공부를 하면서 목을 구부린 자세를 유지한다면 목에 큰 부담이 됩니다. 목을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장시간 지속할 경우 압력이 목 뒤쪽으로 향하면서 경추 사이의 디스크가 뒤로 돌출 될수 있고 돌출된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게 되면 눌린 신경에 따라서 두통, 목통증, 팔 저림, 손 및 손가락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디스크 돌출까지는 아니더라도 주변 근육과 인대, 힘줄의 과긴장, 손상, 염증 등으로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것이 가장 좋으며 평상시에는 같은 자세로 장시간 작업하는 것은 피하시고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시면 좋습니다. 다만 스트레칭 도중 저림 증상이 심해지면 과도한 스트레칭은 피하고 바로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