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상속세

신속한천산갑121
신속한천산갑121

상속세와 증여세는 기준이 다른가요?

보통 증여세의 경우, 직계가족들끼리는 연 얼마 한도내에서 무상증여가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부모나 조부모 유언등으로 전해지는 상속의 경우 성격이 다를 것 같은데, 상속 금액에 따른 세금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궁금합니다. 세금없는 무상 상속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마준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상속과 증여 둘 다 재산의 무상이전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증여는 의도된 행위이지만, 상속은 불가피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로서 차이점도 있습니다.

      상속의 경우, 이런 차이점을 감안해서 상속공제 금액이 증여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인적공제에 한정하여 답변 드리자면,

      기본적으로 기초공제(2억원)와 기타 인적공제 또는 일괄공제(5억원) 중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인적공제의 경우, 자녀 1인당 5천만원을

      미성녀자가 있을 경우 19세가 될 때까지의 연수 * 1천만원을

      상속인 중 65세 이상인자 존재시 1인당 5천만원을

      장애인 존재시 기대여명의 연수 * 1천만원을 공제하여 줍니다.

      배우자 상속공제는 위의 공제외에 별도로 적용되며, 최저 5억원에서

      30억원까지입니다.

      결국 상속인 중 배우자 존재시 10억원 까지는 상속세 부담이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