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범한애벌래228
비범한애벌래22822.10.17

아침 안개는 어떻게 생기는 걸가요?

한번씩 아침에 뿌옇게 안개가 자욱할때가 있더라고요

안개는 어떻게 생성되는 것이며,

신기하게도 안개가 자욱한 날에는 낮에 온도가 따뜻하더라고요

왜 생기는 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17

    일교차가 심해지는때 아침에 안개가 끼는 것은 주로 복사안개 입니다. 이동성 고기압의 중심부에 들어 맑은날 밤이나 아침에 잘 발생합니다. 해가뜨고 기온이 상승하고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안개가 없어집니다.

    <복사안개>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흡수한 복사에너지를 열복사의 형태로 방출하면서 지표의 온도가 내려가는 현상을 복사 냉각이라고 한다. 바람이 약한 밤에 지표면 근처에서 그 현상이 가장 심하게 일어난다. 햇볕을 받는 낮에는 복사냉각이 약하지만 밤에는 지표면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이 불지 않는 맑은 날의 새벽에는 복사냉각이 왕성하여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가 있다. 새벽에 땅이 싸늘하게 식으면 수증기들이 물방울로 변하고 그 물방울들이 뿌옇게 땅에 깔려 복사안개를 형성한다. 복사 안개는 주로 가을에 많이 발생하고, 내륙 지방에서 잘 생기기 때문에 땅안개 또는 지표안개라 부르기도 한다. [과학백과사전 인용]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맑은 날 밤에는 해가 지고 난 뒤 빠른 속도로 땅이 식으며 땅 주변의 공기가 위쪽 공기보다 차게 됩니다.

    이때 대기중의 수증기가 이슬점 온도 이하가 돼 땅과 접해있는 하층 대기에서 안개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때 생기는 안개는 지상에서 가까운 거리에 생기게 되며해가 뜨면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고 물방울이 증발해 서서히 없어집니다.


  • 안개는 수증기들이 가득차 작은 물방울들로 변해 떠있는 현상입니다. 구름도 동일한데 떠 있는 위치에 따라 구름과 안개로 나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안개가 생기는 이유는 공기의 온도가 갑자기 낮아지는 경우입니다. 똑같은 부피라도 더운 공기가 차가운 공기보다 더 많은 수증기를 담을 수 있는데, 공기가 갑자기 차가워 지면 그 공기가 수증기를 담을 수 있는 양이 줄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증기가 응결하게 되면서 안개가 생성됩니다.

    가을철에는 아침, 저녁으로는 기온이 뚝 떨어졌다가 낮동안 기온이 크게 오르는데 딱 안개가 만들어 지기 좋은 상황이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

    풀숲이 아닌, 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덥고 습한 공기가 차갑고 무거운 공기와 만날 때, 덥고 습한 공기 주변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하여 지표면 상에 낮게 떠 있는 상태가 바로 안개이고요.


    이에 비해, 구름은, 이 안개가 지상으로부터 높은 고도에서 생성되어 머물러 있는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안개가 끼는날엔 조금 온도가 올라가서 그러신 거에요!


  • 지상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됩니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가 얼게 되고

    이것이 안개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가 낀 날 맑은 이유는 아침안개가 대부분 복사냉각 때문입니다.

    안개는 수증기가 낮은 곳에서 응결된 것입니다.

    응결의 원인은 복사냉각, 즉 열복사에 의해 물체가 열을 잃기 때문입니다.

    열복사가 일어나려면 안개가 낀 전/후의 날에 해가 떠야하므로, 날씨가 맑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