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4.18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금융시장이 안정화 되나요?

미국의 연준도 그렇고 우리나라 한국은행도 그렇고, 왜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못하고 있나요? 기준금리가 동결 또는 인상되어야 금융시장이 안정화 된다는 근거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경우에는 대출을 갚지 못하는 연체자들이 증가하기 때문에 금융시장은 불안정해지게 되요. 기준금리 인상은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물가의 안정을 위해서 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인상은 금융시장에 유동성을 줄여 인플레이션을 막지만, 경기침체 및 가계부채이자부담을 가져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현재 물가가 확실하게 잡히지 않아 기준금리 인하를 못하고 있는 것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오히려 금리를 인상해야하는 상황입니다. 결국 현재 물가 수준을 고려했을 때 적어도 기준금리가 동결되거나, 인상되어야 물가가 확실히 잡힘에 따라 금융시장이 안정화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금융시장을 안정화 시킨다기 보다는 현재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고

      금리를 인하시키면 겨우 잡았던 물가가 다시 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이나 미국이나 물가가 높아서 기준금리는 인하를 못하는 중입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이유는 경기부양을 위해서구요 기준금리 인하할경우 주식시장에 호재라 금융시장이 안정화 된다는 말을 하나보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와 같은 경우 물가 등을 잡기 위하여 올리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에 이에 따라서 안정화된다는 것입니다.

    물가가 어느정도 높기에 인하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은 금융시장 안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경제 상황에 따라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1. 인플레이션 억제:

    -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돈의 가치가 올라가고 화폐 유통량이 감소하여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지나친 금리 인상은 경기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자산 버블 방지:

    - 낮은 금리로 인한 과도한 유동성은 부동산, 주식 등 자산 시장의 버블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금리 인상은 이런 버블 형성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통화가치 안정:

    - 금리 인상은 해당 국가 통화의 가치를 올려 환율 안정에 기여합니다.

    - 다만 급격한 금리 인상은 해외 자본 유출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라는 두 가지 위험 요인 사이에서 중앙은행들이 균형을 잡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경제 펀더멘탈을 개선하면서 점진적으로 금리를 정상화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기준금리 조절과 함께 재정정책, 산업정책 등 종합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기준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금융시장 안정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준 금리 인상은 금융시장 안정화를 꾀하기 보다는 오른 물가를 내리기 위한 정책입니다.

    기준 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중에 풀린 유동성 (현금) 이 은행으로 돌아오게 되어서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흡수해서 물가를 잡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