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아게노르
아게노르23.07.13

비가 저기압일때 아니면 고기압일때 언제 내리나요?

저기압과 고기압에서 어떤 기압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지 알고 싶어요. 수증기가

증말해서 구름을 형성하는 부분은 알고잇는데 고기압으로 올라가면서 무거워 져서

내리기 시작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압은 중심에 가까울수록 기압이 높아지고 바람은 중심에서 먼 곳을 향해 불어요. 그리고 중심에서는 밖으로 불어 나간 공기를 보충하기 위해 상공의 건조한 공기가 내려와 하강기류를 이루는데요. 이 때문에 고기압 중심 부근에 구름이 있다 해도 하강기류에 의해 구름이 흩어져 날씨가 맑아져요. 반대로, 저기압은 저기압의 중심이 기압이 낮으므로 저기압 중심을 향하여 바람이 불어요. 저기압 중심으로 불어온 공기는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 상승하여 상공으로 올라가는데 상공은 지상에 비해 기압이 낮으므로 공기가 팽창하고 온도가 낮아져요. 이 때문에 상승하는 공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여 구름이 형성되고 비나 눈이 내릴 가능성이 높아져요. 이와 같은 이유로 고기압 주변은 날씨가 좋은 것이며, 저기압 주변은 날씨가 나쁜 것이에요.

    출처 : 기상청 - 고기압과 저기압의 날씨 차이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 형성되어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과정이죠..

    비는 주로 높은 습도와 불안정한 기상 상황에서 발생하는데..이러한 상황에서 기압은 일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고기압이 지배적인 안정적인 기상 상황에서는 대체로 습도가 낮고, 맑은 날씨가 나타나죠

    따라서..비와 기압은 서로 밀접하게 역행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결국 비는 낮은 기압과 높은 습도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ㅎ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저기압일 경우 공기가 포화하여 구름이 형성되어 비가 오고, 고기압은 대체로 맑은 날씨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가 압축되는 고기압에서는 온도상승이 일어나 비구름이 잘 형성되지않지만, 공기가 팽창되는 저기압에서는 온도하강이 일어나 공기중의 수증기들이 액화되며 비구름을 만들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고기압은 빽빽한 공기로 인해 공기가 무겁습니다. 그래서 하강기류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고기압의 윗부분에서는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주변의 공기가 모여들게 됩니다. 또 하강기류로 인해

    구름이 생기지 않게 되어 맑은 날씨가 됩니다.(보통 가을 하늘)

    저기압에는 반대로 공기의 밀도가 낮아 가벼운 상태라서 공기가 상승하게 되는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저기압의 아랫부분에는 공기가 빠져나가 주변의 공기가 모이게 되고 구름을 형성합니다.

    그래서 저기압에서는 보통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올 수도 있죠.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저기압일 때 내립니다. 저기압은 기압이 낮은 지역으로, 공기가 모여들어 상승하게 됩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차가워져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됩니다. 구름이 과도하게 발달하면 비가 내립니다.

    고기압은 기압이 높은 지역으로, 공기가 퍼져나가게 됩니다. 공기가 퍼져나가면 따뜻해져서 수증기가 증발하게 됩니다. 수증기가 증발하면 구름이 생기지 않으므로 비가 내리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저기압, 고기압을 따지지 않습니다. 구름이 만들어지고 그 구름이 수분을 많이 포함해서 무거워 지면 비가 내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압과 저기압에서 비가 내리는 기압은 다릅니다. 고기압에서는 기압이 높기 때문에 수증기가 구름을 형성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고기압에서는 비가 잘 내리지 않습니다. 반면에 저기압에서는 기압이 낮기 때문에 수증기가 구름을 형성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저기압에서는 비가 자주 내립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공기가 팽창하고 팽창한 공기는 온도가 낮아집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수증기가 물이 되어 구름을 형성합니다 구름이 무거워지면 비가 됩니다


  • 저기압은 대기가 상승하고 팽창하는 영역으로, 일반적으로 비와 습한 날씨와 연결됩니다. 저기압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고, 상승하는 공기가 포화되면 구름이 형성되고 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기압은 대기가 하강하고 압축되는 영역으로, 일반적으로 맑고 건조한 날씨와 연결됩니다. 고기압은 대기의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것보다는 구름이 흩어지고 해가 비추는 날씨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가 내리는 여부는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으며 기압만으로는 결정되지 않습니다. 다른 요소로는 수증기 함량, 상승 기류, 지형 등이 있습니다. 비가 내리는 기상 조건은 복잡하며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정 기압에서 비가 내리는 시점을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비가 내리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증기 함량과 대기 상태가 필요합니다. 저기압이 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지만, 비가 내리지 않는 고기압 상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